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임 당시 북한을 핵무기로 공격하거나 선제타격 하는 방안을 비공개회의에서 제의했다고 NBC방송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0년 출간된 ‘도널드 트럼프 대 미국’(Donald Trump v. the United States)의 저자 마이클 슈미트 뉴욕타임스(NYT) 기자가 펴낸 후기에는 2017년 7월부터 2019년 1월까지 트럼프 행정부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낸 존 켈리의 재임기 활동 면면이 상세하게 담겼다.
슈미트에 따르면 북한 핵무기 공격에 대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 2017년 켈리 전 비서실장이 취임한 직후 나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시 ‘화염과 분노’라는 발언으로 한반도를 비롯한 전 세계의 긴장감을 높이고 있었다. 그는 미사일 시험을 되풀이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로켓맨’이라고 칭하며 도발이 계속되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겠다”고 그해 9월 유엔 총회 연설에서 협박하기까지 했다.
문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실제로 비공개적으로 전쟁을 원했다는 점이다.
이어 “트럼프가 자신이 북한을 겨냥해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면 행정부는 책임을 피하고자 다른 누군가를 탓할 수 있다고 말하며 대북 핵무기 사용 구상을 무신경하게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북한을 핵무기로 공격하고 다른 나라에 책임을 미루겠다는 것이다.
켈리 전 비서실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전쟁을 해서는 안되는 이유를 이성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켈리 전 실장은 당시 “우리 소행으로 지목되는 것을 막기는 힘들다”고 트럼프에게 말했다고 한다.
켈리 전 비서실장은 전쟁 발발 시 인명피해를 언급하며 트럼프 전 대통령을 설득했으나 그는 전혀 이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슈미트는 전했다. 당시 한국과 미국에서는 대북 선제타격시 한반도에서 발생할 한국과 미국 군인, 민간인의 인명피해 규모 추산치가 주목받은 바 있다.
슈미트는 켈리 전 실장이 자신의 말을 트럼프 전 대통령이 듣지 않자 경제적인 후폭풍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해 그나마 잠시 트럼프을 관심을 붙들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트럼프는 그 뒤에 또다시 전쟁할 수 있다는 태도로 돌아와 한때 켈리에게 북한을 선제타격할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켈리 전 실장은 군사 공격을 위해선 의회 승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경고하자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짜증스러운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슈미트는 북한과 관련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비공개 발언들이 북한 정보원에게 흘러갔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미국 고위관리들 사이에서는 북한이 주요 의사결정자들을 감시하려 한다는 사실이 널리 퍼져있었다고 설명했다.
슈미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친구나 지인들에게 북한에 무력을 사용하기를 얼마나 원하는지 보안장치가 없는 전화기로 자꾸 얘기한다는 점에 백악관 보좌진이 경악했다고 전했다. 그는 “켈리는 트럼프에게 친구들과 기밀을 공유해선 안된다는 점을 상기시켜야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