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이 러시아 전쟁을 돕기 위해 군사 지원에 나선 중국과 북한, 이란을 제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1년이 되는 이달 24일까지 일련의 제재를 시행하기 위해 세부 내용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는 “G7 회원국은 러시아에 군사적 목적을 가진 부품과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고 보는 중국, 북한, 이란을 제재할지 논의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며, 국가별 조치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제재 대상 기업의 범위도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는) G7의 대러 제재에 동의하지 않은 제3국을 통해 군사용 물품이 러시아로 이동하는 것을 막으려는 노력”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CNN은 복수의 미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국영기업들이 러시아에 비살상용 군사 장비 등을 지원한 정황을 포착하고 중국 정부에 문제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행정부 내부에선 “(중국 기업의 지원이) 제재를 전면 회피한 수준은 아니어도 조치는 취해야 한다”는 의견이 분출됐다고 한다.
이 문제는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할 때 제기할 것으로 관측됐지만, 정찰풍선 문제로 진행되지 못했다.
싱크탱크 폴리시 액셀러레이터도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가 반도체 등 주요 필수품을 중국·홍콩 등을 거쳐 대거 수입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일부 G7 국가는 중국 기업이 러시아에 군사적으로 도움이 되는 반도체 칩과 같은 기술 부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 정보당국은 중국이 러시아가 요청한 군사지원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블룸버그는 “미국과 서방 동맹은 러시아에 드론을 공급한 이란 기업을 제재했고, 이런 조치를 확대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 국무부는 지난 2일 폴란드와 전략대화 후 공동성명에서 “벨라루스, 북한, 이란은 러시아를 그만 지원하고 중국은 러시아의 (전쟁에 대한) 거짓 서술을 확산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백악관은 북한이 지난해 11월 철도를 이용해 러시아로 보병용 로켓과 미사일 등 무기를 보냈다며 관련 정황이 담긴 위성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이란과 북한은 러시아 전쟁 지원을 부인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의 동맹들은 이미 러시아에 드론을 지원한 이란 기업을 제재했고, 이제 이 조치를 확대할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서방 동맹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튀르키예, 인도 등 국가를 통해 러시아가 악용할 수 있는 장비가 유입될 가능성 등 제재 허점을 해결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