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우크라전 환경피해 67조…“러에 생태학살 책임 물어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환경 피해액이 514억 달러(약 66조 6000억원)에 달한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환경부는 러시아에 에코사이드(Ecocide)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최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 열린 워크숍에서 우크라이나 환경부와 과학자, 변호사, 환경단체 등이 전쟁으로 인한 환경피해 사례를 발표했다.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으로 공장 시설 등이 파괴되고 화재가 발생하면서 각종 화학 원료와 건설 폐기물로 인해 토지와 대기가 오염됐다.

공습 등으로 인한 산불 피해도 커서 동부 루한스크주 1만7000㏊(170㎢)를 비롯해 전국적으로 200만㏊(2만㎢)이상의 숲이 잿더미로 변했다.

이로 인해 동물 600종과 식물 880종이 멸종위기에 처했고, 우크라이나 토지의 3분의 1이 농업에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또 160개 자연보호 구역과 16개 습지대, 2개 생물권이 파괴 위협에 처했다.

러시아발 침공은 기후변화 악화에도 한몫하고 있다. 전쟁으로 인해 지금까지 이산화탄소 3300만t이 공기 중으로 방출됐고 전후 재건으로 4870만t이 방출될 것으로 추산된다.


가장 심각한 잠재 위기는 우크라이나에 있는 유럽 최대규모 자포리자 원전이다. 자포리자 원전은 전쟁 와중에 화재, 전력선 손상의 피해를 입었다. 현재 러시아가 통제하는 인근 저수지의 낮은 수위로 인해 냉각시스템마저 위협받고 있다.

우크라이나 환경부 차관 스비틀라나 그린추크는 “이는 단순한 전쟁이 아니라 국가 테러이며, 생태 학살(Ecocide)”이라며 “침략을 통해 야생 동물을 죽이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사회 불안정을 야기함으로써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역대 전쟁에서 환경 파괴 내역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실시된 경우는 처음이다.

과거 베트남전에서는 고엽제 사용에 따른 산림 황폐화, 걸프전에선 석유 유정 화재이 각각 주목을 받았으나 이번처럼 과학 연구, 정보기술 등을 활용하고 시민사회·대학·정부가 함께 나서 종합적으로 환경 피해 평가를 하진 않았다.


우크라이나 정부의 이 같은 에코사이드 집계 발표는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와 환경에 대한 민감성이 고조된 시기에 전쟁 선전 효과를 갖는다고 가디언은 평가했다.

또 전후 러시아의 전쟁 범죄를 단죄하는데 생태계 파괴 범죄를 포함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

우크라이나 환경부 장관 루슬란 스트레레츠는 지난해 11월 개최된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모든 환경 피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투쟁에 동참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초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