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美, 北 외화벌이 기관 3곳·개인 2명 제재


미국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 자금을 지원한 북한 관련 기관 3곳과 개인 2명을 제재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 2주 만이다. 유명 영화배우 조지 클루니가 과거 대북 제재 위반 사실을 폭로했던 단체가 포함됐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1일(현지시간) 불법 외화벌이를 해온 북한 칠성무역공사와 조선백호무역공사, 아프리카 현지 법인 등 3개 기관과 북한 국적자 황길수, 박화성 2명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칠성무역공사가 북한 정권에 속한 무역회사로 외화벌이에 나섰고, 정보요원들을 직원으로 위장 고용해 외국에서 정보를 수집해왔다고 설명했다. 조선백호무역공사는 북한 인민무력부 산하 기관으로, 1980년대부터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예술 및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해 북한 정권에 자금을 조달해왔다.

황길수와 박화성은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에서 콩고아콘드SARL이라는 회사를 설립, DR콩고의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건설 및 조각상 설립 프로젝트를 수주해 돈벌이에 나섰다. DR콩고 수도에 세워진 독재자 로랑 카빌라의 대형 동상 2개도 이들이 만든 것이다. 이들은 중심가 인근 공원 건설 수주도 따냈다.

콩고아콘드SARL은 황·박의 지시에 따라 카메룬 은행의 DR콩고 지점에 미국 달러화 계좌를 개설했다. 조지 클루니가 설립한 비영리 감시단체 ‘센트리’는 2020년 이들 기관이 건설사업으로 불법 외화벌이에 나선 사실을 지적하며 제재를 촉구하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센트리는 이들이 현지 은행을 통해 자금 세탁을 한 뒤 달러를 북한으로 보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전날 알바니아와 함께 북한 인권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제로 남겨둘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제출했다. 한국을 포함한 60개국이 지지 서명에 동참했다. 규정상 특정 의제에 관한 공식회의가 3년간 열리지 않으면 안보리는 이듬해 해당 의제를 논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그러나 안보리 이사국 중 한 곳이라도 반대하면 논의를 계속할 수 있다. 안보리는 2018년부터 북한 인권 문제와 관련한 공식회의를 열지 않았다.

한편 미 하원 외교위 소속 민주당 브래드 셔먼 의원은 이날 한국전쟁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체결, 북미 연락사무소 설치를 촉구하는 ‘한반도 평화 법안’을 재발의했다.

셔먼 의원은 “이제는 전쟁 상태를 공식적으로 종료할 때이며 이는 미국과 한국이 한반도에서 향후 평화를 구축하길 원한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며 “미군 철수를 위한 것이 아니라 한반도에서 평화가 한 걸음 더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불가역적으로 북한 핵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현실적이지는 않다”며 “바라는 것에는 못 미치지만, 핵 프로그램을 해체하고 매우 제한적인 규모의 핵무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