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눈높이 낮춘 中… “올해 성장률 5.0% 안팎”


중국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0% 안팎’으로 제시했다. 천안문 시위 무력진압으로 서방의 제재를 당한 1991년의 성장률 목표 4.5%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위드 코로나 전환에도 경기 회복세가 더디고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 정세가 불확실한 상황을 고려해 목표를 보수적으로 잡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 업무보고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가 5.0% 안팎이라고 밝혔다. 이는 경제활동 정상화, 기저효과 등에 힘입어 5~6%대 목표를 제시할 것이라는 시장 전망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다. 중국은 코로나19가 확산했던 2020년 목표치를 공개하지 않았고 그해 2.2% 성장을 기록했다. 2021년에는 6.0% 이상을 제시한 뒤 8.4% 성장했고 지난해엔 5.5% 안팎을 제시했다가 3.0% 성장에 그쳤다.

리 총리는 ‘안정 속 성장’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이를 위해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펼치겠다며 재정적자 목표치를 GDP 대비 3.0%로 설정했다. 지난해 2.8%보다 높다.

올해 약 1200만개의 도시 일자리를 창출해 실업률을 5.5% 안팎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 자립·자강, 산업망 보강 등을 강조했다.

리 총리는 지난해 업무보고에서 중국이 직면한 3중 경제 위기(수요 위축, 공급 충격, 전망 약세)를 부각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작년 성과를 설명하는 데 주력했다.

그는 중국 GDP가 시진핑 주석이 재임한 지난 10년 동안 70조 위안(1경3207조원), 연평균 6.2% 성장했다고 강조하면서 올해 세부과제로 소비 회복, 첨단 기술개발 및 플랫폼 경제 발전, 국유기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등을 꼽았다.

한국의 국회 격인 전인대 개막식에는 시 주석과 정치국 상무위원을 비롯해 2900여명 대표가 참석했다. 이들은 오는 13일 폐막 전까지 업무보고와 국무원 및 국가기관 개혁안 등 9개 안건을 심의해 처리할 예정이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