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 정부가 6일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제3자 변제’ 방식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성명을 내고 “오늘 한국과 일본의 발표는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들 간 협력과 파트너십의 획기적인 새로운 장”이라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두 차례의 역사적인 외교장관 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번영하는 양국 국민의 미래를 위해 중대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양국 지도자들이 이러한 새로운 이해를 지속적인 진전으로 전환하는 것을 계속해서 지원할 것”이라면서 “한일 양국의 조치가 완전히 실현된다면,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에 대한 공유된 비전을 지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앞으로 한국·일본·미국의 3국 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면서 “오늘의 발표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함께 서 있을 때 우리 국가들은 더 강하고, 세계는 더 안전하고 번영한다”고 덧붙였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2018년 대법원으로부터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그러나 정부의 해법안에 대해 일부 피해자들은 피고 기업의 배상금 기여와 사죄가 없다며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정의기억연대, 민족문제연구소, 민주노총 등 611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앞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에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