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부자동네 출신, 10년 이상 오래 산다” 英연구…한국은


부유한 지역에서 태어난 사람이 그렇지 않은 곳에서 태어난 사람보다 10년 이상 더 오래 산다는 연구결과가 영국에서 나왔다.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인 더타임스에 따르면 29개 보건 싱크탱크 연합체인 ‘헬스이퀄스’는 통계 당국 자료를 바탕으로 영국 650개 선거구의 기대수명을 분석했다. 기대수명은 당장 태어나는 아기가 살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수명으로 그 지역의 보건·복지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헬스이퀄스 분석 결과 잘 사는 지역과 못 사는 지역은 기대수명에 뚜렷한 격차가 있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긴 선거구 20곳 가운데 15곳은 부촌이 많은 런던과 영국 남동부 지역에 있었다. 반면 기대수명이 가장 짧은 20개 선거구 가운데 17곳이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등 빈곤한 지역이었다.

한 예로 런던의 부촌 헴프스테드에서 태어나는 아기는 88세까지 살 것으로 기대됐지만, 상대적으로 가난한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태어난 아기는 그보다 12년 적은 76세까지 살 것으로 예상됐다.

사는 지역에 따른 기대수명 격차는 더 벌어지는 추세다. 가장 잘사는 부촌과 가장 못사는 빈촌 사이 기대수명 격차는 최근 20년 사이 2년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더타임스는 “부실한 주거, 기대 미만의 교육, 그리고 빈곤으로 인해 수백만명의 수명이 10년씩 단축된다”고 꼬집었다.


한국에서도 유사한 분석 결과가 나온 바 있다.



윤 교수는 당시 포럼에서 “2018년 전국 평균 건강 수명이 70.43세였는데 건강수명이 평균보다 긴 시군구는 84곳인 반면 평균보다 짧은 곳은 166곳에 달했다”면서 “주로 서울과 수도권의 건강수명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기대수명이 낮은 지역 내에서 소득별 격차는 더 크다는 통계 분석도 있다. 통계청은 2019년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보고서에서 “농촌 등 저소득층의 기대 수명이 낮은데, 그럴수록 소득 5분위별 기대수명 격차는 더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영은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