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美 ‘공포의 인공눈물’…부작용으로 실명에 사망까지


미국에서 인공 눈물을 사용했다가 시력을 잃거나 안구를 적출하는 상황에 이르는 경우가 잇달아 발생했다. 심지어 사망한 사례까지 나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기준 인공눈물에 의한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VIM-GES-CRPA) 감염 사례 68건이 16개 주에 걸쳐 확인됐으며 감염자 중 3명이 사망했다고 21일 발표했다.

감염자 중 8명은 시력을 잃었고 4명은 안구를 적출해야 했다고 CDC는 덧붙였다.

감염자들은 인도 제약사 ‘글로벌 파마 헬스케어’의 ‘에즈리케어’ 등 인공눈물이나 점안액 3종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항생제 내성균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지난달 문제의 제품의 사용 중단 및 회수를 통보한 상태다.

CDC는 앞서 지난달 문제의 제품에서 녹농균이 검출된 사실을 발표한 바 있다. CDC는 이 오염이 제조 과정에서 발생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새 제품을 분석하는 중이다.

녹농균은 토양, 물, 생활 공간 어디에나 존재하는 강한 병원성 균이다. 감염되면 녹색 고름이 난다고 해서 녹농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녹농균은 감염된 부위에 따라 가벼운 피부질환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패혈증까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

녹농균은 보통 항생제를 투여해 치료하는데, 이번 사례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녹농균이 발견돼 문제가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매체 CBS는 감염 확산 사실을 전하면서 이번에 검출된 카바페냄 내성 녹농균 균주가 미국에서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다고 보도했다. 또한 항생제 약 10종에 대한 내성까지 갖춰 치료가 극도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CBS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진이 녹농균에 감염된 사람을 치료할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발견했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다. ‘세균 킬러’라고도 불리는데, 기존 항생제로 치료되지 않는 세균에 대한 감염과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다만 아직 이 방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는 없으며 이 치료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한다.

서혜원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