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우크라 난민 놓고 ‘성착취물’ 찾는 이들…“검색량 300%↑”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쟁 난민들에 대한 성착취 피해 등의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 온 가운데 온라인 상에서 실제 우크라이나 난민에 대한 성착취적 용어 검색량이 크게 늘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학술·연구 서비스 기업 톰슨 로이터가 글로벌 검색 엔진 트래픽을 분석한 결과 전쟁 발발 1개월 차였던 지난해 3월 기준 우크라이나 난민에 대한 성착취적 용어 검색량이 전쟁 발발 전 대비 3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보면 스페인과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인 관련 성착취물 검색량이 개전 6개월 전과 비교해 각각 600%, 130% 늘었다. 영국에서는 우크라이나인을 상대로 한 성매매 관련 검색어 검색량이 200% 뛰었다.

우크라이나 난민이 등장한다고 표기된 성착취물 영상의 조회수도 급증했다.

관련 영상물 13건의 경우 1월 한 달 동안 조회수가 27만5000건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현상은 오스트리아, 체코, 덴마크, 프랑스, 스위스 등 광범위한 국가에서 나타났다.

이런 수요를 통해 이득을 취하려는 이들이 생기면서, 우크라이나 난민의 취약한 경제적 상황 등을 빌미로 음란물에 출연하거나 성매매할 여성을 찾는 ‘공고’도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의 인신매매 근절 특별대표 발리언트 리치는 “우리는 우크라이나인이 사용하는 채팅에서 (성착취물 출연 등에 대한) 모집 시도가 있었다는 직접적 증거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유엔여성기구는 러시아 침공 이후 발생한 인신매매 관련 범죄 65%가 여성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성착취로 고통받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톰슨 로이터는 OSCE와 협력해 난민에 대한 성착취를 막고 인식 재고를 위해 ‘비 세이프(Be Safe)’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지만 온라인상 수요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서혜원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