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 증시 빅테크 랠리에 '조만간 끝날 가능성' 경고음

올해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 주가의 상승이 미국 증시 랠리를 견인하고 있지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 속에 이러한 상승세가 조만간 끝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오늘(17일)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JP모건·모건스탠리·뱅크오브아메리카(BofA) 등국내 대형 은행 애널리스트들은 경기 침체에 따른 기술주 약세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지난해 33.1%나 급락했지만, 올해 들어서는 17.9% 상승한 상태다.

특히 엔비디아(+99.89%)와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플랫폼(+98.45%) 주가는 100% 가까이 올랐고, AMD(+56.67%)와 테슬라(+35.18%)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아마존과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35%가량 상승했다.

여기에는 챗GPT 출시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조만간 마무리될 것이라는 기대 등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경기 침체 우려와 은행권 불안에 따른 신용 경색 등 악재가 연이어 나오면서 신중론이 부상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크리스 투미는 테크 업계가 전체적인 경제 상황에서 자유롭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실적 하락이 두 분기 이상 이어지는실적 침체에 공식적으로 진입할 것이며, 실제 경제가 침체에 빠질지 가능성은 반반이라고 봤다.

그는 전체적인 주가가 하락할 경우 기술주가 다음으로 하락하는 도미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JP모건의 제이슨 헌터는 성장 속도가 줄고 역성장을 향해 가기 시작했다. 

이러할 때는 '안전자산 선호'에서 '현금 선호'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면서 경기 순환주보다 기술주의 하락 위험이 더 크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기술주의 약세를 예측했던 BofA의 마이클 하트넷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를 언급하며 신용과 테크업계에 금이 가게 하는 침체가 일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단 기술주에 대한 일각의 낙관론도 여전히 존재한다.

리서치업체 펀드스트랫의 톰 리는 이달 초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일부 기술주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페이스북(현 메타)·애플·아마존·넷플릭스·구글 등 이른바 '팡'(FAANG) 주식이 올해 50%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면서 이들 기업의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보기 어렵다. 

수요가 계속 늘고 새로운 경쟁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