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반세기 전 극적인 미중 화해를 끌어낸 미 외교계의 거두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에 대해 미 현직 고위 관료들을 뛰어넘는 특급환대에 나선 것을 두고 미국에 중국을 겨냥한 '칼끝'을 거두라는 우회적 신호를 보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민간인 신분인 키신저 전 장관의 이번 방중은 토니 블링컨 현 국무장관과 재닛 옐런 재무장관, 존 케리 기후변화 특사 등 한 달 사이 미국 고위 인사 세 명이 잇따라 중국을 방문한 가운데 이뤄졌다.
키신저 전 장관이 받은 대우는 그가 지금껏 중국을 100차례 넘게 방문한 '중국통'이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현직' 3명에 비해 훨씬 무게감이 있었다.
외부에 공개된 키신저 전 장관의 첫 일정은 18일 리상푸 국방부장 접견이었다.
외교와 경제, 글로벌 이슈 등 소통 채널이 속속 복원되는 중에도 군사 대화 재개만은 유독 지연되는 상황에서 미국 국방장관도 안 만나고 있는 리 부장이 키신저 전 장관과 대좌한 것이다.
미국의 제재 리스트에 올라 있는 리 부장은 관계 안정화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미국의 일부 인사가 중국과 마주 보지 않은 결과, 중미 관계는 수교 이래 가장 수렁을 배회하고 있다며 양국이 상호 의존하는 현실이 경시되고 협력 호혜의 역사가 곡해되며 우호 소통의 분위기가 파괴됐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이런 다소 직설적인 표현은 이튿날 있었던 중국 외교라인 사령탑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과의 만남에서도 나왔다.
왕이 위원은 '상호 존중'·'평화 공존'·'협력 호혜' 등 세 가지 원칙이 중미 두 강대국이 정확히 공존할 수 있는 길 이라며 미국의 대 중국 정책에는 '키신저식의 외교적 지혜'와 '닉슨식의 정치적 용기'가 필요하다고 했다.
왕 위원의 메시지는 1971∼1972년 양국 관계 정상화 과정을 직접 '소환'한 것이기도 하다. 반공주의자로 유명한 리처드 닉슨 당시 대통령조차 현실주의자 키신저 전 장관과 함께 '중국 봉쇄'를 푸는 정책적 전환을 이끈 만큼, 지금의 미국에도 그러한 태도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취지인 셈이다.
중국은 하루 뒤인 20일에는 시진핑 주석까지 직접 나서 키신저 전 장관에게 더욱 공을 들였다.
장소는 1971년 비밀리에 방중한 키신저 전 장관이 저우언라이 당시 총리를 만났던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 5동으로 선정됐고, 시 주석은 그를 '라오펑유'즉 오랜 친구라 칭하며 52년 전 마오쩌둥 주석, 저우언라이 총리, 닉슨 대통령, 당신은 탁월한 전략적 안목으로 중미 협력이라는 정확한 선택을 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