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10년 뒤 LA시 지역구 확대 원하는 시의원들 .. 기득권 못놓나?

[앵커멘트]

LA시의원 일부가 시의회 개혁 핵심인 지역구 확대안 시행일을 최대한 늦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내년(2024년) 주민발의안 투표에서 지역구 확대안이 통과된다 해도 세부 내용을 더 논의해 시행은 10년 뒤에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결국 자신들의 임기 내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겠다는 꼼수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LA시의원 권한 축소와 부정부패 척결 등을 골자로 한 ‘개혁’의 중추는 독립 선거구 위원회 구성과 지역구 확대안입니다.

LA시 독립 선거구 위원회 구성 여부는 내년(2024년) 선거 주민발의안 투표에서 결정되는 가운데 전망은 밝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LA시 지역구 확대안이 주민발의안 투표에 부쳐지기 까지는 첩첩산중 입니다.

LA시의원들의 권한을 축소하는 안인 만큼 시의원들의 불편한 속내가 결정 과정에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속내는 일부 시의원들이 주장하고 있는 시행 년도에서 드러납니다.

한인을 포함한 단체와 커뮤니티는 지역구 확대안이 LA시의회와  내년(2024년) 선거 주민발의안 투표에서 통과되면 오는 2026년 바로 적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부 시의원들은 투표 통과 이후 10년 뒤 시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100여년 만에 처음으로 추진하는 안인 만큼 세부적인 사항들을 보다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 입니다.

표면적으로는 LA시 행정 관할 구역을 이례적으로 바꾸는 사안이기 때문에 이유가 될 수 있지만 10년 뒤라는 기간 설정은 너무 길다는 지적이 뒷따릅니다.

LA시의원 임기가 4년인 것을 감안할 때 10년이면 결국 자신들의 임기 내에는 지역구 확대안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겠다는 꼼수로 풀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 15개 지역구를 25개 이상 늘리자는 커뮤니티 의견에 대해서도 너무 많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시의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역구 확대안은 LA시 개혁을 주도하고 있는 AD HOC 위원회와 시의회, 주민발의안 투표를 넘어야 합니다.

내년(2024년) 주민발의안 투표에 부쳐지기 위해서는 늦어도 내년 6월 전에는 결정이 나야합니다.

지난 100여년 간 15개로 굳혀진 LA시의 행정 구역을 늘리는 것은 복잡한 절차와 진통을 겪어야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주민들의 권익을 위하겠다며 주민들의 한표, 한표를 모아 당선된 선출직들이 자신의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는다면 ‘개혁’은 멀기만 합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 말도 있듯 굉장히 긴 시간입니다.

이 때문에 일부 시의원들은 기득권을 생각하기 전 주민들이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안이 LA시 미래에 도움이 되는지부터 생각해야하고 각 커뮤니티는 목소리를 모아 각 지역구 관할 시의원은 물론 시의회에 전달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