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운전자가 없는 무인 로보택시의 유료 운행 서비스가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해 8월 CA주 샌프란시스코를 시작으로LA와 애리조나주 피닉스,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유료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 만입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구글 자율주행 자회사 웨이모의 주당 유료 승차가 10만건을 돌파했습니다.
구글의 자율주행 자회사인 웨이모는 지난달 기준 주당 유료 승차 건수가 10만건을 돌파했다고 어제(20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8월 CA주 샌프란시스코를 시작으로LA와 애리조나주 피닉스,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유료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 만입니다.
특히 지난 5월 유료 운행 서비스는 주당 5만건이었는데, 2개월 만에 두 배로 급증했습니다.
웨이모 측은 유료 운행이 진행 중인 도시 가운데 샌프란시스코에서 운행이 가장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 대부분의 지역에서 유료 서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에서 시험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또 이번 달부터는 샌프란시스코 인근 지역인 댈리시티를 포함해 브로드무어와 콜마 등 3개 지역에서 운행 서비스를 확대했습니다.
웨이모는 1천480만 마일 이상을 주행한 결과 웨이모 무인택시는 사람 운전자보다 부상을 초래하는 충돌은 3.5분의 1, 경찰에 신고된 충돌은 사람의 3분의 1 수준으로 우수했다고 밝혔습니다.
2009년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자율주행 프로젝트로 시작한 웨이모는 미국에서 700대의 차량으로 유일하게 로보택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너럴모터스(GM) 자회사인 크루즈가 지난해 8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운행을 시작했지만, 잇단 사고로 운행을 중단했습니다.
이에 우버와 포드 등은 개발을 중단했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인 테슬라는 오는 10월 로보택시를 공개할 예정이지만, 실제 서비스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알파벳은 앞서 지난달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웨이모에 향후 수년간 5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 전날에는 센서를 줄인 새로운 '6세대' 자율 주행 시스템에 대한 세부 사항도 공개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