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4.29폭동 아픔 딛고 눈부신 발전 이뤄낸 LA한인사회 미래와 과제

[앵커멘트] 

LA한인사회는 4.29폭동이라는 아픔을 딛고 총력을 기울인 결과 지난 30 년간 더 이상 주류 사회도 좌시하지 못할 정도로 경제와 정치 분야에서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이에 따라 한인사회는 4.29 폭동을 더 이상 아픈 역사로만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30년 간의 눈부신 발전을 이뤄낼 수 있었던 밑걸음으로 삼아 차세대와 함께 또 다른 30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1992년 4월 29일, 힘든 이민 생활을 버텨내며 일궈온 삶의 터전LA한인타운은 4.29 폭동으로 한순간에 잿더미가 되어버렸습니다.

이후LA한인타운은 더 이상 일어설 수 없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30년이 지난 현재 고층 빌딩과 업체들이 즐비하고 타인종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 LA시 경제의 중심 지역 가운데 하나로 부상했습니다.

폐허에서 다시 일어서겠다는 한인사회의 뼈를 깎는 노력 결과입니다.

LA한인상공회의소 강일한 회장입니다.

<녹취 _ LA한인상공회의소 강일한 회장>

4.29폭동은 다시 일어서야한다는 일념과 함께 다시는 치안 당국과 주류 정계에게 외면 당하지 않도록 한인 정치력을 신장시켜야한다는 목표도 남겼습니다.

치안당국으로부터 외면당해 터전이 불타는 것을 지켜볼 수 밖에 없었던 한인사회는 경제 발전을 기반으로 치안당국과의 관계를 강화했고 30년이 지난 현재 소요 사태시 우선 보호 대상이 될 수 있는 토대도 마련했습니다.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LA시에서 소요 사태가 발생해 곳곳에서 약탈과 방화가 이어졌지만 한인타운에는 LAPD경찰과 CA주 방위군이 우선 배치되면서 피해가 미미했던 사례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올림픽 경찰서 후원회 브래드 리 회장입니다.

<녹취 _ 올림픽 경찰서 후원회 브래드 리 회장>

이러한 노력은 한인 정치인 배출로 이어졌습니다.

후원금만 받고 나몰라라하는 정치인이 아닌 진정 한인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해 줄 수 있는 한인들의 정계 진출 목표였습니다.

그 결과 미셸 박 스틸과 영 김을 포함한 한인 연방 하원의원 4명 배출은 물론   LA를 넘어 CA주, 전국 정계 곳곳에 한인들의 진출이 이뤄질 수 있었습니다.

미셸 박 스틸 연방 하원의원입니다.

<녹취 _ 미셸 박 스틸 연방 하원의원>

한인사회는 여기서 그칠 것이 아니라 4.29폭동이 남긴 교훈과 목표를 기억하고 차세대와 함께 보다 발전하는 미래의 30년을 준비해나가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영 김 연방 하원의원입니다.

<녹취 _ 영 김 연방 하원의원>

LA한인회 제임스 안 회장은 차세대와 함께 4.29폭동을 기억하고 발전해나가는 것 만큼이나 폭동 당시 주류 언론 등으로 인해 씌워진 한, 흑 갈등 프레임을 지우고 화합과 융합을 선도하는 대표 커뮤니티라는 점을 주류 사회에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_ LA한인회 제임스 안 회장>

잿더미와 절망만 남았던 LA한인타운, 그리고 한인사회는 지난 30년간 아파만 했던 것이 아니라 거듭된 노력으로 눈부신 발전을 이뤄냈고 주류 사회에서 인정받는 커뮤니티로 거듭났습니다.

4.29폭동으로 부터 얻은 아픔을 이겨낸 한인사회는 지난 30년을 기억하며 또 발전을 위해 앞으로의 30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이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