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총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최근 한국 기업인들과 면담에서 대미 투자를 종용하면서 10억달러라는 기준을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이끄는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은 지난 21일 러트닉 장관 취임 선서식에 앞서 러트닉 장관과 따로 만나 40여분간 면담했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러트닉 장관은 이 자리에서 사절단에게 미국 제조업에 가능한 한 많이 투자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러트닉 장관은 특히 한 기업인이 수천만달러의 대미 투자 계획을 소개하자 '최소한 10억달러의 투자를 원한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무조건 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고 요구한 게 아니라 10억달러 투자부터 미국 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가능하니 그 정도를 하면 좋겠다고 설명하는 취지였다고 한 소식통은 전했다.
러트닉 장관은 10억달러 이상을 투자하면 투자를 가속화하기 위해 지원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러트닉 장관 선서식 이후에 서명한 '미국 우선주의 투자정책'을 설명하는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각서에서 동맹의 대미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객관적인 기준에 입각한" '패스트트랙'(fast-track) 절차를 신설하겠다고 했으며, 또 10억달러를 넘는 대미 투자에 대한 환경 평가를 신속히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사절단에게 10억달러 미만의 투자에 대해서도 미국 정부가 지원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각서에 10억달러를 명시했고, 러트닉 장관도 10억달러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밝힌 점에 비춰 트럼프 행정부가 10억달러라는 기준에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러트닉 장관은 대미 투자가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드러내야 한다는 입장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투자를 약속하면 당장 1년안에 착공과 같은 구체적인 추진을 보여야 한다'는 취지로 말해 기업이 투자를 약속만 하고 시간을 끄는 것은 용인할 수 없음을 시사했다.
사절단과의 면담에서는 관세 문제도 논의됐지만, 러트닉 장관이 관세로 기업들을 압박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