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집값이 총 6조달러 이상 불어나면서집을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자산 불평등이 심화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어제(1일) 진단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집계에 따르면 전국 내 집주인의주택 자산 규모는 코로나19 발생 직전인 2019년 4분기 19조5천121억달러에서 지난해 4분기 26조3천630억달러로 6조8천508억달러(약 8천670조원), 35.1% 늘었다.
이런 자산 증가의 대부분은 새 집 공급이나 기존 주택 리모델링에 따른 가치 증가가 아니라 팬데믹기간 수요 과다와 공급 부족에 따른 기록적인 집값 상승에 따른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주류언론에 따르면 미국 집값의 주요 지표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지난해 연간 18.8% 올랐다.
이는 1987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34년 만에 가장 높은 연간 상승률이다.
뉴욕타임스는는 낮은 모기지 금리와 팬데믹 상황에서 생활 공간을 확대하려는 욕구 등으로 주택 수요가 늘었으나 주택 신규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집값 상승으로 기존 주택 소유자65%에게 혜택이 돌아갔다고 볼 수 있으나, 주택 임대료 등이 빠르게 상승해 집이 없는 사람들에겐 재난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과 원자재 가격 폭등, 공급망 대란으로 미국 집값이 급등하면서 자산 불평등이 심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앞으로 집을 사야 하는 밀레니얼 세대에 비해 이미 집을 가진 베이비붐 세대, 자가 보유율이 흑인 가구에 비해약 30%포인트 높은 백인 가구 등이 이런 집값 상승으로불균형하게 혜택을 받으면서 불평등이 증폭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가운데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올해 2월에도작년 동기보다 19.8% 급등, 집값 상승세가 올해도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에 속도를 내는 것도금리 인상 전 주택을 사려는 수요자를 자극한 셈이 됐다.
또 뉴욕타임스는 최근 금리가 급격히 상승해 이제 주택 가격 상승 속도가 완화할 것이라면서도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