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연봉 11만 달러가 넘지 않으면, 빚을 내서 중간쯤 되는 집을 구입하기조차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년 전, 7만 달러 대에서 50%나 폭등한 건데, 특히 CA주의 경우 연소득 20만 달러 이상이 요구되고 있어, 내 집 마련은 많은 주민들에게 어렵다 못해 불가능 한 일이 되어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전예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집을 사기 위해 필요한 연소득 기준이 해마다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금융정보업체 뱅크레이트(Bankrate)의 주택 구매 여력 에 따르면 올해(2025년) 기준 전국 중간 가격의 주택을 감당하려면 연소득이 최소 11만6천986달러는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5년 전인 2020년의 약 7만8천 달러와 비교하면 거의 50% 오른 수치로, 단기간에 주택 구매 부담이 급격히 높아진 겁니다.
전국 50개 주 중 30개 주 이상에서 ‘6자리 수’ 연소득, 즉 10만 달러 이상을 벌어야만 주택 구입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특히, CA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중간 가격대 주택을 사기 위해서는 연소득이 21만3천 달러 넘어야 합니다.
이 처럼 주택 구매 여력이 악화된 건 모기지 금리 상승과 주택 가격 상승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프로 융자 스티브 양 대표입니다.
<녹취_ 프로 융자 스티브 양 대표>
20년 이상 주택 모기지 컨설턴트 경력을 가진 양 대표는 5년 전과 비교하면 주택 구입이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말합니다.
<녹취_ 프로 융자 스티브 양 대표>
CA 주민들의 실제 소득과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통계에 따르면, 은 약 9만6천 달러 수준으로, 주택 구입에 필요한 기준보다 10만 달러 이상 낮은 실정입니다.
LA 지역도 예외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LA한인타운 인근지역의 중간 가구 소득은 약 5만2천 달러, 지역은 5만5천 달러 정도로, 주택 구입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지역은 10만 달러에 달했으나 역시 10만달러 못 미칩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모기지 금리와 집값이 단기간에 크게 낮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무주택 서민층과 젊은 세대의 주거 불안정 문제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전예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