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트럼프, ‘공정 입시’ 드라이브.. 레거시 특혜에는 침묵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학 입시의 ‘공정성’을 내세워 성적, 시험 중심 원칙 등을 강력히 강조하고 나서며 인종의 고려를 일절 금지하도록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브라운 대학, 컬럼비아 대학 등과 입시 데이터 공유를 포함한 합의를 맺었다.

전국 대학들에도 인종을 고려하지 않았음을 입증할 구체적인 자료 제출을 연방 재정지원의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이른바 레거시, 즉 동문 자녀나 기부자 등의 가문이나 재산에 따른 우대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러다 보니 트럼프 대통령의 대학 입시 ‘공정성’ 주장에 공가마기 어렵다는 여론 속에 역풍이 불고 있다.

진보 성향 연구자 리처드 칼렌버그 박사는 레거시만큼 노골적인 세습 특권이 드물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공화당 소속인 인디애나 주의 토드 영 연방상원의원도 조상이나가문 같은 통제 불가능한 요인에 근거한 모든 우대를 없애야 진정한 입시 공정이라고 할 수있다며 레거시 금지 입법을 재차 촉구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에 반기를 들었다.

미국 대학에서 레거시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입학 과정에서 일어난다.

연방 보고에 따르면 약 500여개 대학이 레거시를 고려하는데, 그 중에서도 상위 100개 대학들은 절반 이상이 해당된다.

아이비 리그 8개 대학교들도 이 레거시 입학을 유지하고 있다.

스탠퍼드 대는 캘리포니아의 레거시 금지 법을 피하기 위해 주 재정지원 프로그램에서 철수한 것ㅇ로 나타났다.

그러니까 캘리포니아 주로부터 받을 수있는 재정 지원금을 포기할 만큼 레거시 입학에서 창출되는 수익이 어마어마한 규모라는 반증이다.

스탠퍼드 대학은 이처럼 레가시 정책 유지를 선택했고, 학교 보고에서 신입생의 약 14%가 동문이나 기부자 연고라고 밝혔다.

시민단체 Lawyers for Civil Rights는 하버드 대학을 비판했다.

하버드 대학도 역시 레거시 입학을 운영하고 있는데 동문이나 기부금을 낼 수있는 재정적 여력이 높은 부모를 둔 백인 학생들에게 과도한 이익을 안겨주고 있다는 것이다.

Lawyers for Civil Rights는 연방 교육부에 하버드 대학 레거시 입학이 부모가 누구인지에 따라 그 자녀가 보상받는 비능력주의적 특혜라면서 하버드 대학을 제소했다.

이에 대해 연방 법무부는 레거시 입학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면서 소수계 인종에 대한 특혜가 가장 큰 문제라고 반박했다.

‘지리적 타깃팅’이나 ‘역경 극복 서술형 에세이’ 등도 인종을 우회적으로 반영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는 취지다.

이에 대해 예일대 법학자 저스틴 드라이버 박사는 연방정부의 강경 조치가 대학들로 하여금 소수계 등록을 축소하도록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2년 전이었던 지난 2023년 연방대법원 판결로 소수인종 우대, Affirmative Action이 위헌 판단을 받았다.

이후 버지니아와 콜로라도, 캘리포니아 등 일부 주에서 공립과 사립 모두에 레거시 금지 흐름이 확산되는 분위기가 나타났다.

실제로 AP가 지난 2023년 연방대법원 판결이 나왔을 때 긴급하게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미국인 다수가 레거시 우대에 부정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