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더 이상 셀러 마켓 아냐" 부동산 열기 식어.. 북동부·CA는 예외

올여름 들어 전국 부동산 시장이 지난 수년간의 ‘판매자 우위’ 국면에서 벗어나 점차 균형을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별로 온도차는 뚜렷하다.

부동산 플랫폼 질로우가 최근 발표한 ‘마켓 열기 인덱스'에 따르면 전국적으로는 매물이 시장에 머무는 기간이 길어지며 거래 열기가 다소 식었지만 북동부와 캘리포니아 일부 도시는 여전히 판매자에게 유리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팬데믹 시기 이주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던 텍사스와 플로리다 등 선벨트 지역은 공급 확대와 수요 둔화가 맞물리며 차츰 구매자 우위 시장으로 바뀌고 있다. 

질로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건설업체들이 팬데믹 당시 수요를 예측하고 공급을 늘린 결과 현재는 공급이 수요를 앞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질로우가 꼽은 14개 구매자 우위 시장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플로리다에 위치했다. 

마이애미, 잭슨빌, 탬파 등 주요 도시들이 대표적이다.

반대로 뉴욕, 코네티컷, 매사추세츠 등 북동부와 샌프란시스코를 포함한 CA일부 도시는 여전히 ‘강력한 셀러 마켓’으로 분류됐다. 

지리적 제약과 높은 밀도 규제 때문에 신축 주택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가격 상승 압력이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가장 뜨거운 셀러 마켓으로는뉴욕 로체스터, 시라큐스, 버팔로, 코네티컷 하트퍼드, 매사추세츠 스프링필드, 뉴욕 앨버니, 코네티컷 브리지포트, 뉴욕시, 샌프란시스코, 코네티컷 뉴헤이븐 등이 꼽혔다.

한편 애틀랜타, 멤피스 등 일부 대도시는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특별히 유리하지 않은 ‘중립적 시장’으로 분류됐다.

질로우는 “일부 지역의 열기는 식었지만, 지리적 제약이 큰 동북부와 캘리포니아는 여전히 공급 부족으로 집값 상승 압력이 남아 있다”며 “향후 건축 규제 완화 여부가 시장 향방을 가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