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레이저 대신 각막 형태 바꿔서 '시력 교정'

레이저를 사용하지 않고 각막 모양을 바꿔 시력을 교정하는 새로운 방법이 동물 실험에서 확인됐다.

기존 라식(LASIK) 수술은 각막을 절개하고 레이저로 깎아내는 방식이다.

이번 연구에선 전기화학적 원리를 이용해 각막을 ‘성형’하듯 다시 빚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초기 실험 단계임을 강조하면서도 향후 시력교정 수술의 패러다임을 바꿀 가능성을 제시했다.

학계에 따르면 마이클 힐 옥시덴탈 칼리지 교수와 브라이언 웡 UC어바인 교수 연구팀은 미국 화학회(ACS) 가을 학술대회에서 전기화학적 원리로 각막을 고쳐 시력을 교정하는 기법을 소개했다.

라식 수술은 레이저로 각막 일부를 제거해 모양을 교정하는 방식으로 널리 쓰이고 있지만 각막을 절개한다는 점에서 구조적 안정성이 약화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절개 없는 시력 교정을 목표로 ‘전기기계적 재형성(EMR)’ 기법을 적용했다.

조직내 콜라겐과 수분의 전하 결합을 전기 자극으로 느슨하게 풀어내 일시적으로 유연하게 만든뒤 다시 원래의 산성도(pH, 수소이온농도) 상태로 회복시키면서 새 형태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웡 교수는 “살아 있는 조직을 성형 가능한 재료로 바라보다 우연히 발견한 과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12개의 토끼 안구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그 결과 근시 상태를 모사한 10개 안구에서 목표한 굴절력이 구현됐다.

세포 생존율이 유지됐으며 별도의 실험에서는 약물로 인한 각막 혼탁이 완화되는 효과도 관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