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러시아의 공격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현금 약 100만 달러(약 12억5200만원)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2일 알려졌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주도하는 외교부가 지원 금액의 절반을 부담하고, 유관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나머지를 부담하는 방식이다.
지원금은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가 지원한 현금으로 IAEA에서 우크라이나에 필요한 물자 등을 구매해 전달해주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부처 간 지원금 분담 협의를 마무리한 뒤 오는 6일부터 진행되는 IAEA 이사회에서 이런 방침을 공식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현금지원과 별개로 현물지원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성 물질을 차단하는 방호복이나 산소마스크, 장갑 등이 지원 가능 품목으로 거론된다.
자포리자 원전은 연간 최대 시간당 420억㎾의 전기를 생산하며 우크라이나 전체 전력의 20%를 담당했다. 그러나 지난 3월 러시아군의 공격을 받은 뒤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원전 재건 지원을 공식화한 나라는 일본뿐이다. 일본은 약 200만 달러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밖에 미국 영국 호주 등도 지원을 고려 중이다.
우리 정부는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정부와 국민, 피란민을 위해 10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긴급제공했다. 최근에는 155㎜ 포탄 등 무기를 우회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우크라이나 지원에 힘을 쏟고 있다.
일각에선 이번 지원사업이 윤석열정부 ‘탈원전 폐기’ 정책의 연장선상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정부가 제3국 원전 수출을 강조해온 만큼 장기적으로 동유럽 시장에서 한국의 친원전 이미지를 부각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편 드미트로 세닉 우크라이나 외교차관이 6~8일 방한할 예정이다. 세닉 차관은 우리 정부와 양국 교역·투자 협력,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신용일 기자 mrmonst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