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코로나19 봉쇄 완화됐지만 지갑 닫은 중국 소비자들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이 진정세에 접어들며 강도 높은 봉쇄 조치는 완화되는 추세지만 소비자들의 지갑은 열리지 않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7일(현지시간) 중국이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소비 지출 회복을 이끌어내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소비 촉진을 위해 할인 바우처를 제공하고 디지털 위완화를 지급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 중이다. 선전에서는 소비 바우처에 5억 위안을 할당했으며 상하이에서는 전기차 구매를 하는 주민들에게 1만 위안의 보조금을 준다.

하지만 4월 중국의 소매 판매는 작년 같은 달보다 11.1% 감소했다. 이는 2년 전 우한 사태 때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이다. 게다가 4월 도시 실업률은 6.1%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자 정부의 목표인 5.5%를 훨씬 웃돈다.

전문가들은 중국 내 소비 반등을 억제하고 있는 요인들로 코로나19 규제에 대한 두려움과 봉쇄 기간 동안의 소득 감소, 실업에 대한 불안함 등이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선전에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쇼핑몰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72시간마다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 최근 중국 지린성에서는 PCR 검사를 하지 않은 주민이 10일간 구금되고 벌금을 물기도 했다.

장이핑 중국상업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당국이 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급격한 반등은 어려울 것”이라며 “국민 소득이 감소하고 있으며 고용에 대한 압박도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소비지출은 경제 회복의 핵심이다. 올해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에서 3분의 2 이상을 소비지출이 차지했다. 로이터통신은 소비지출 회복이 늦어질수록 세계 경제성장의 핵심인 중국의 경제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중국 당국은 현금 지급을 통한 소비 촉진은 주저하고 있다. 봉쇄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상하이에 현금 지급을 하면 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겠다고 약속한 당국의 입장이 난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하이는 중국의 경제수도로 부유한 도시에 속한다. 또한 당국은 주민들에게 지급된 현금이 소비에 쓰이지 않고 저축 계좌로 들어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소비 촉진을 위해 투자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아 강 전 중국 재정부 싱크탱크 대표는 로이터통신에 “우리는 효과적인 투자를 활성화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투자가 없다면 소비는 흔들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