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의사당 폭동’ 두고…트럼프 “위대한 운동” vs 바이든 “헌법위반” 충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6 의사당 폭동’ 공개 청문회를 앞두고 정면 충돌했다. 지난해 1월 6일 발생한 의사당 폭동 사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패배에 불복한 시위대가 바이든 대통령 당선 인증을 막기 위해 의사당에 난입한 사건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사건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1·6 폭동사태의 직간접적 당사자이기도 한 두 사람이 여론을 잡기 위해 공방전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1·6은 단순한 시위가 아니다”라면서 “그것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 위한 가장 위대한 운동을 대표한다”고 주장했다.

미 하원 특위가 이날 저녁 TV로 생중계되는 첫 청문회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과 폭동 사태 간 연관성을 보여주는 영상 등 새로운 증거를 공개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제적으로 방어를 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특위(Select Committee)를 ‘선택 안 된 위원회(Un select Committee)’라고 부르며 특위의 정당성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특위는) 가짜뉴스 매체의 보도보다 훨씬 많은 대규모의 국민들이 왜 워싱턴 DC로 갔는지 그 이유를 조사하는 데는 1분도 안 썼다”면서 “그것은 조작되고 도둑질당한 선거에 대한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참여자 수가 커지면서 내가 대통령으로 의사당 보호를 위해 2만명의 주 방위군 배치를 요구했다는 것을 위원회는 이제 알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2만명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배치를 명령했다고 이전에 언급했던 숫자(1만명)보다 늘어난 것이지만 확인되지 않은 허위 주장이라고 미 언론은 전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회담에 앞서 1·6 의사당 폭동에 대해 “당시 이 사람들은 법을 어기고 선거 결과를 뒤집으려고 했다”면서 “이는 분명하고 명백한 헌법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누가 책임이 있는지, 누가 관여됐는지 등에 대한 많은 의문이 있다”면서 “많은 미국 국민은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대한 세부 내용의 일부를 처음으로 보게 될 것”이라며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