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남유럽, 2012년 재정위기사태 재현 우려 커지고 있어

유럽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최근 들어서 인플레이션이 매우 높은데 그 중에서 남부 유럽 상황이 가장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英 언론 ‘The Times’는 유럽 국가들 중에서도 재정이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들이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인상, 긴축 전환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사태가 터지고 나서 그 여파로 2012년 남유럽을 강타한 재정 위기가 10년만인 올해(2022년) 또다시 일어날 수있다는 것이다.

40여년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를 인상하기로 방침을 정하는 등 긴축으로 정책을 전환해 나갈 것임을 분명하게 천명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고 있는 독일 국채(분트)와 이탈리아 국채의 10년 만기 기준 금리격차(스프레드)는 2.0%p를 기록했다.

이탈리아 채권 금리가 독일보다 그만큼이나 높다는 의미다.

기준금리가 올라갈수록 격차가 확대되면서 이탈리아 정부의 이자 등 상환 부담이 크게 커지게 된다.

실제로 지난 14일(화)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8년 만에 처음으로 연 4%대로 치솟았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질 뫼크 프랑스 AXA그룹 수석경제학자는 Financial Times와 인터뷰에서 2010년대 유럽을 수렁에 몰아넣었던 유로존 채무위기의 데자뷔가 느껴진다고 말했다.

국채 금리 상승은 이탈리아에서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어서 스페인과 그리스 등 고질적인 재정난을 겪고 있는 남유럽 국가들 역시 최근 들어서 국채 금리가 급격히 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이들 남유럽 국가들의 차입비용이 불어날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투자자들이 서둘러 국채를 내다팔고 있는 것이다.

국채 가격 하락은 곧 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Wall Street Journal은 유로존 경제가 분열될 것이라는 우려가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 인상 방침 이후에 더욱 고조되고 있는 것도 유로존 회원국 간 채권금리 격차가 벌어지는 속도가 가팔라지는 이유라고 분석했다.

Financial Times는 지금의 상황이 2012년 유로존 채무 위기에 비해 더 심각한 상황일 수 있다는 매우 비관적인 진단도 내놨다.

유로존 일부 국가의 재정지출 규모가 10년 전보다 더 늘어났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고 2년 이상 장기화되면서 남유럽 국가들의 주요 수입원인 관광산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유럽 국가들이 지출을 늘리게 하는 악재다.

이탈리아의 국내총생산,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012년 127%에서 현재 150%로 높아졌다.

그리스도 같은 기간 162%에서 185%로 확대됐다.

경기 둔화로 각국 유로존의 세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도 대단히 걱정스럽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