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술한 경호로 아베 신조 전 총리의 피격 사망을 막지 못한 일본이 한국의 전직 대통령 경호를 주목하고 있다. 일본 일간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3월 대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을 향한 소주병 테러에 대응한 경호팀을 23일 지면에 실어 조명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소주병이 날아들자 불과 2~3초 만에 십수 명의 경호원이 빠르게 달려왔다. (중략) 이중삼중으로 둘러싸고 방탄 막을 올렸다”며
신문은 아베 전 총리를 향한 발포 후 근처에 있던 경호원들이 총격범 야마가스 데쓰야를 제압하기 위해 달려든 것에 대해서도 “경호원의 역할은 본래 용의자 체포가 아니라 요인(要人)의 안전 확보다. 제2∙3의 공격이 어디서 올지 모른다. 평소와는 다른 사태가 벌어진 경우 요인을 덮어서 가리거나 엎드리게 해서 목숨을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는 한국의 경호 시스템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신문은 한국의 대통령 경호처가 경호원 약 400명 체제로 대통령과 그 가족 경호를 담당하며 대통령은 임기 후에도 최장 15년 동안 재임 중과 거의 같은 수준의 경호를 받는다고 전했다.
총격 가능성에 대한 일본 경호팀의 판단 자체가 허술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 경찰 관계자는 “요인 경호에서 총격을 가정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전방에서 습격자가 칼을 들고 달려드는 것과 같은 위험을 크게 인식해 왔다”며 니혼게이자신문에 일본의 경호 실태를 설명했다.
특히 야마가미가 직접 만든 총으로 아베 전 총리를 저격한 것처럼 일반인이 3D 프린터 등을 이용해 총기를 제작할 가능성이 있는 등 일본에서도 총기를 사용한 범죄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닛케이에 따르면 최근 일본 경찰청은 아베 전 총리 피격 사망 사건과 내년 히로시마에서 열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대비하고자 30년간 이어진 경호 체계를 재검토해 대폭 수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