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국 1월 소비자물가 6.4% 상승… “정상 복귀 길 길고 험난”


미국의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연간 상승률이 6.4%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고점(9.1%) 대비 2.7% 포인트 낮아졌다. 그러나 시장 기대치보다 높고, 전월 대비로는 크게 올랐다.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은 하락 추세지만, 경로가 울퉁불퉁할 것이라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예상과 일치했다.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은 14일(현지시간)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월 CPI 상승률이 6.4%로 지난해 12월(6.5%)보다 0.1% 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물가를 제외한 근원 CPI는 5.6%로 내려왔다. 역시 지난달(5.7%)보다 0.1% 포인트 낮다.

7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간 것이지만, 둔화세는 약화했다. CPI와 근원 CPI 모두 시장 기대치(각 6.2%, 5.5%)에 못 미쳤다.

특히 전월 대비 CPI 상승률은 지난해 12월의 0.1%에서 지난달 0.5%로 급등했다. 최근 다시 오름세를 보인 휘발유 가격 때문이다. 전미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이날 갤런당 3.414달러로 지난해 12월 중순 3.1달러 수준보다 30센트 이상 올랐다.

뉴욕타임스(NYT)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긍정적인 데이터를 받고 있지만, 정상으로 돌아가는 길은 길고 험난할 수 있어 보인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여름부터 지속된 인플레이션 둔화는 대부분 공급망 개선에 따른 상품과 원자재 가격 안정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주거비 상승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노동통계국은 “주거비 지수는 모든 항목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소비자 수요도 상품에서 서비스로 이동하면서 관련 물가 상승이 계속되고 있다. NYT는 “건강 관리, 외식 등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유지되며 둔화할 기미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노동부가 물가지수를 산정할 때 항목별 가중치를 변경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노동부는 지난달부터 에너지, 중고차 등 가격안정 추세에 있는 항목의 가중치는 낮추고 주거비 가중치는 높였다. 데이터상 물가 내림세가 이전보다 더디게 나타나게 되는 셈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시장은 연준이 오는 3월에 이어 5월에도 0.25% 포인트씩 금리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가장 크게 전망했다. 3월 금리 인상을 종료할 것이라는 이전 기대를 뒤바꾼 것이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