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주도로 통과한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국산 전기차 업계에는 악재로 작용하는 반면 국내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은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23일(현지시간) 인플레감축법으로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이 외국 기업 중 주된 수혜자가 됐다고 보도했다. 한화솔루션은 블룸버그에 “내년부터 매년 2억 달러(약 2687억원) 이상의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태양광 모듈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로 조지아주에 1.7GW(기가와트) 규모의 모듈 공장을 운영 중이다.
풍력발전용 타워 제작사로 미국에 공장이 있는 씨에스윈드 역시 세액 공제로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씨에스윈드 미국 내 투자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
이 같은 수혜는 인플레감축법에 탈탄소와 풍력·태양광·배터리·그린수소 산업의 미국 내 생산 확대 등을 위해 3740억 달러(약 502조6000억원)를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풍력·태양광 부문 지원액이 300억 달러(약 40조3000억원)에 이른다. 관련 산업계가 혜택을 얻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게다가 미국이 중국산 장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있는 만큼 반사 이익으로 한국 기업들이 덕을 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BNP파리바 자산운용 관계자는 “아시아에서 한국이 (인플레감축법의) 주요 수혜국 중 하나로 두드러진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한국 수출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국산 전기차가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북미에서 최종 조립되는 전기차만 올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내년 1월부터는 일정 비율 이상 미국 등에서 생산된 배터리와 핵심 광물을 사용해야 하는 등 추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기존 제도에서 보조금 혜택을 받아왔던 한국산 전기차들은 수혜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