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시진핑 “韓·中 양국 ‘동주공제’해야 난관 뚫고 나갈 수 있어”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식이 24일 서울과 베이징에서 동시에 열렸다.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축하 서한을 교환하고 미래 30년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자고 강조했다.

주중 한국대사관과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주최로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 17호각에서 열린 기념식에는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정재호 주중 한국 대사 등 양국의 정·재계 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왕 부장과 정 대사가 각각 윤 대통령과 시 주석의 축전을 대독하고 축사를 했다. 댜오위타이 17호각은 1992년 8월 24일 이상옥 당시 한국 외무장관과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이 수교 문서에 서명한 장소다. 한·중 수교의 초심을 부각한 장소 선택으로 보인다.

같은 시각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주한 중국대사관 주관 기념식에는 박진 외교부 장관과 싱하이밍 중국 대사가 참석해 자국 정상의 축전을 낭독하고 축사를 주고받았다.

윤 대통령은 축전에서 지난 30년 동안 한 중 관계가 비약적으로 발전했음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시 주석과의 대면 협의를 기대한다고 언급해 한·중 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뒀다. 시 주석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했던 대면 외교를 재개하고 있어 두 정상의 첫 만남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시 주석은 축전에서 “세계는 새로운 변혁기에 들어섰다”며 “이 관건적인 시점에 한·중 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동주공제(同舟共濟·같은 배를 타고 함께 물을 건넌다는 뜻)해야 위기를 극복하고 난관을 뚫고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또 “한·중 양국은 좋은 이웃, 친구, 동반자가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축사에서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사드 문제를 의식한 듯 “현안에 대한 솔직하고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서로 불필요한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양국 국민간 문화 협력과 인적 교류를 조속히 회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중국 측이 사드 보복 조치로 취한 한류제한령(한한령)을 풀 것을 주문한 것으로 해석된다.

왕 부장은 축사에서 “한·중 관계는 3단 뛰기를 실현해 전략적 협력 동반자가 됐고 산업망과 공급망이 심도있게 융합돼 ‘네 속에 내가 있고 내 속에 네가 있는’ 이익 공동체가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사람이 서른 살이 되면 기개와 자강의 정신을 가져야 하듯 한·중 관계도 그렇게 발전해야 한다”며 “우리는 초심을 고수하고 서로 존중하며 신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2년 수교 20주년 기념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렸고 차기 국가주석으로 확정된 시진핑 당시 국가부주석이 참석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행사 규모와 주빈의 급이 낮아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시 주석의 3연임을 확정할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중국 내부 사정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 참여 등을 둘러싼 긴장 분위기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다만 중국에선 수교 정주년 기념식에 보통 부총리급 인사를 보냈다. 왕 부장이 국무위원을 겸하고 있어 관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지적도 있다.

수교 30주년 기념식에 앞서 한·중 관계 미래발전위원회가 지난 1년 동안 준비한 공동보고서를 양국 정부에 전달하는 행사도 진행됐다. 외교부는 “보고서 내용은 정부만 참고하도록 돼 있어 원본은 공개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베이징 특파원 공동취재단, 권지혜 특파원 김영선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