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오지에서도 인터넷 가능”…스페이스X·T-모바일 협업


기지국이 없는 오지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진다.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와 미국 이동통신사 T-모바일이 외진 곳에서도 휴대전화로 위성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에 협력하기로 했다.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와 마이크 시버트 T-모바일 CEO는 2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의 스페이스X 시설 스타 베이스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스페이스X의 저궤도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가 쓰일 것으로 보인다. 스타링크에 기존의 T-모바일 휴대전화를 직접 연결해서 기지국이 없는 곳에서도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스타링크는 저궤도 소형 위성 수천개를 쏘아올려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으로 스페이스X는 현재까지 2700개가 넘는 위성을 발사했다.

스페이스X는 성명에서 “미국의 20%, 지구의 90% 이상이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못하는 ‘데드 존’(dead zone)으로 남아있다”며 “오지나 통신망에서 떨어진 곳을 여행하는 사람에게 심각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데드 존이란 사막이나 산 같은 지형적 제한 등의 이유로 무선 통신 회사가 들어서지 못해 네트워크 사용이 어려운 지역을 뜻한다.



이번 협력 목표는 어디서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머스크는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휴대폰 사각지대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시버트 CEO는 “이 서비스가 무료가 되길 바라지만 하늘에 기지국을 세우는 것과 비슷한 일인 만큼 사용자에게 저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