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인류의 꿈, 반세기 만에 다시 오늘밤 달 향해 날아간다


미국의 달 복귀 계획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의 첫 비행 임무에 나서는 ‘우주발사시스템(SLS)’ 발사를 위한 카운트다운이 27일(현지시간) 시작됐다. 별다른 변수가 없으면 SLS는 29일 오전 8시33분(한국시간 오후 9시33분) 발사된다.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은 이날 오전 10시23분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 최초의 여성 발사 책임자인 찰리 블랙웰 톰슨은 기자회견에서 “중요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가 없다. 모든 것이 예정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상 전문가들은 발사 당일 날씨가 좋을 확률이 70%라고 예측했다. SLS는 높이 98m, 무게 2600t의 초대형 발사체다. 추력만 4200t급에 달한다.

이번 발사는 전체 3단계로 구성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중 1단계다. 나사는 이번에 무인 우주선 ‘오리온’을 달 궤도로 보내 복귀하는 시험비행을 시도한다. 유인 우주선 발사에 앞서 사전 점검하는 차원이다.

달 탐사 시 인체에 미칠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센서 등이 부착된 우주복을 착용한 마네킹 ‘무네킨 캄포스(Moonikin Campos)’가 탑승해 있다. 무네킨은 ‘달(moon)’과 ‘마네킹(manikin)’을 조합해 만든 이름이다. 캄포스는 아폴로 13호가 지구로 무사 귀환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던 엔지니어 ‘아르투로 캄포스’에서 따왔다.

나사는 이후 2024년 아르테미스2에서 4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한 우주선을 쏘아 올려 달 궤도를 탐사한 뒤 복귀하는 시험을 한다. 2025년 시작되는 아르테미스3에 이르면 최초의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가 달 남극 표면에 착륙한다.

아르테미스1 비행은 42일간 진행된다. 오리온 우주선은 발사 후 열흘 뒤 달 궤도에 진입하고, 2주가량 임무를 수행한 뒤 지구로 복귀한다. 10월 10일쯤 미국 샌디에이고 앞 태평양으로 귀환할 예정이다.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50여년 만에 달에 복귀하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핵심인 로켓과 유인캡슐의 데뷔 무대이자 첫 시험대인 셈이다. 이번 무인비행이 성공해야 이후 아르테미스2, 3 미션으로 이어갈 수 있다. 아르테미스는 태양의 신 아폴로의 쌍둥이 누이의 이름이다.

한국은 지난해 5월 10번째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참여국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이후 나사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 5일(한국시간) 발사된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호’에 탑재된 ‘섀도캠(Shadow Cam)’이 대표적이다. 나사 요청에 따라 다누리호에 실린 장비로, 다누리호가 달에 도착해 달을 공전하는 동안 향후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착륙 후보지를 탐색하고 달 극지방 영구 음영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아르테미스1 로켓 발사 상황을 29일 오후 9시10분부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다.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팀 강성주 연구사와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박사, ‘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의 저자 곽재식 작가 등 3명이 공동 진행한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이도경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