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전격 차단하며 독일과 프랑스를 압박하고 나섰다. 러시아는 독일로 가는 가스관 정비를 이유로 일방적으로 차단했다. 프랑스에는 가스 대금 지불 문제로 가스 공급을 줄인다고 밝혔다가 하루도 안돼 돌연 가스 공급을 중단한다고 통보했다.
AFP 통신과 타스 통신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은 독일과 프랑스로 가는 천연가스 공급을 전면 중단했다고 밝혔다.
가스프롬은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가스관인 ‘노르트스트림1’의 가압시설을 정비하기 위해 이날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사흘간 가스공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동시간이 1000시간을 넘어설 때마다 점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독일 에너지 당국인 연방네트워크청의 클라우스 뮐러 청장은 “기술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이라고 가스프롬 측의 설명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노르트스트림1을 정비한다는 건 에너지 공급 중단으로 유럽을 압박하기 위한 핑계일 가능성이 크다”고 반발했다.
앞서 가스프롬은 지난달 정비작업을 이유로 노르트스트림1을 통한 가스공급을 10일간 중단한 바 있다. 이후 가스 공급량을 평소 40% 감축한 데 이어 20% 수준으로 재차 줄였다.
독일은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가 유럽연합(EU) 회원국 중 가장 높다. 독일 기업과 가정은 최근 껑충 뛴 가스 가격 등
프랑스는 독일 등 다른 EU 회원국들보다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가 낮지만 안심할 순 없는 상황이다.
가스프롬은 이날 기준으로 프랑스에 7월 가스 공급 대금 전액을 수령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령에 따라 해외 가스 구매자가 계약 조건대로 전액을 내지 못하면 추가 가스 공급은 금지된다”며 이 같은 사실을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엔지에 통보했다.
가스프롬은 이날 오전 엔지에 공급하는 가스를 줄이겠다고 밝혔지만 오후 당사자 간 의견 불일치를 이유로 가스 공급을 전면 차단한다고 밝혔다.
엔지는 성명을 내고 “이미 필요한 물량은 확보한 상태”라며 “가스프롬의 공급 중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정적, 물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조치도 마련해 두고 있다”고 전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일 가스와 전기 등 에너지 위기 대책 마련을 위한 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엘리자베트 보른 프랑스 총리는 에너지 수급에 경고등이 켜지자 최악의 경우 에너지 배급제를 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