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유엔 “중국 신장 위구르 탄압, 반인도 범죄 해당”


유엔 인권사무소는 중국이 신장 위구르족 등을 상대로 한 차별적인 구금이 반인도적 범죄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강간을 포함한 성적 폭력 피해 주장에 대해서도 “신뢰할 만한 것으로 보이며, 그 자체로 고문이나 다른 형태의 부당 대우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유엔 인권사무소는 31일(현지시간) 48페이지 분량의 신장 위구르족 인권 조사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유엔 인권사무소는 보고서에서 “강제적인 의학적 치료와 열악한 구금 환경을 포함한 고문이나 학대의 양상이 있다는 의혹은 믿을만하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 정부가 대(對)테러 및 대(對)극단주의 전략을 적용함에 따라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심각하고 부당한 인권 침해가 자행됐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신장 지역의 8개 구금 시설 상황에 대해 알고 있는 전직 수감자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보고서는 “수용소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구금됐는지 추정할 수 없지만 2017~2019년 사이 대규모 구금이 발생했다고 결론 내리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그러면서 “중국 정부와 유엔 정부 간 기구, 인권 시스템은 물론 국제 사회의 긴급한 관심이 필요하다”며 “(중국은) 자유를 자의적으로 박탈당한 모든 개인을 즉시 석방하고, 인권 침해 의혹을 신속하게 조사하라”고 촉구했다.

국제 인권단체 등은 약 100만 명에 달하는 위구르족과 다른 소수민족 이슬람교도들이 재교육 수용소에 구금돼 가혹한 인권 탄압을 받고 있다고 비판해 왔다. 중국은 수용소 존재를 부인하다가 나중에는 위구르족을 대상으로 직업교육 등을 하는 기관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은 유엔을 상대로 보고서 발간을 막기 위한 압력을 지속해 왔다. 실제 유엔인권최고대표실은 3년간 보고서를 준비했지만, 보고서가 발간이 지연되면서 미첼 바첼레트 유엔인권최고대표가 미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은 바첼레트 대표에게 보고서를 발간하지 말라고 압력을 가했다”며 “거의 1년간 (발간이) 지연됐다”고 보도했다. 이날 발간도 바첼레트 대표 임기 만료 10여 분 전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휴먼라이츠워치 소피 리처드슨은 “이번 보고서는 중국이 발간을 막으려고 고군분투했던 이유를 설명한다”며 “중국의 거짓말과 위구르족에 대한 가혹한 대우가 드러났다”고 말했다.

장쥔 유엔 주재 중국 대사는 보고서 발간 전 “신장 문제는 정치적 동기에서 나온 완전히 조작된 거짓말”이라며 “보고서 출판에 대해 전적으로 반대한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