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이‘게’ 돼?…美 연구진 “랍스터·게 갑각류 껍질로 배터리 제조 가능”


랍스터나 게 등 갑각류의 등껍질에 포함된 ‘키틴’ 성분으로도 배터리 전해질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대 재료 혁신센터 연구진은 키틴(chithin)으로 전해질을 만들어 배터리에 적용한 결과 400시간에 해당하는 1000번의 충전 사이클에도 99.7%의 에너지 효율을 유지했다는 논문을 ‘매터’(Matter)에 발표했다.

이들의 연구 결과로 자연에서 분해되는 키틴이 배터리에 들어가는 화학물질은 대체할 수 있으면, 전기자동차 등 배터리 기반의 녹색 산업이 친환경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된다.

연구진은 화학적 처리를 통해 갑각류 껍질 구성물질인 키틴에서 전해질로 쓰일 수 있는 단단한 겔 막을 추출해 아연을 결합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배터리를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실험용 배터리가 성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빠르게 충전됐다”며 “높은 전류 밀도에서 배터리가 작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특히 “이런 성능은 키토산 기반 물질의 장점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키토산 기반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와 달리 인화성이 없고, 토양에서 단 5개월 만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해 후 남는 아연은 재활용할 수 있다.

영국 노팅엄대 그레이엄 뉴튼 교수는 “실험실 결과를 기술 상용화로 연결하는 데에는 여러 제약이 있을 것”이라고 진단하면서도 키토산·아연 배터리는 상용화가 유망하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