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2일(현지시간) 러시아산 원유와 석유제품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들은 이날 G7 재무장관 화상 회의를 마친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국가별로 가격상한제 시행을 위한 조처를 긴급히 추진할 계획”이라며 “유럽연합(EU)의 6차 대러 제재 패키지 관련 조처에 맞춰 시행 시기를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G7 재무장관들은 “향후 러시아산 원유와 석유제품은 특정 가격 이하에 구매된 경우에만 해상운송 서비스 제공 등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원유·석유제품 가격 상한제를 시행할 계획”이라며 “가격상한은 시행에 참여하는 광범위한 국가들이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성명에 가격 상한선을 얼마로 정할 것인지 등 세부적인 사항은 담기지 않았다.
G7 재무장관들은 “가격상한제는 러시아의 이익과 전쟁 재원 마련 여력을 줄이고, 러시아가 일으킨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가격 영향을 축소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됐다”며 “특히 중저소득 국가들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가격상한제는 EU의 6차 대러 제재 패키지 등 기존 제재에 기반하며, 그 제재의 효과를 증폭시킬 것”이라며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원유 가격 상한제 설계와 시행에 참여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G7은 지난 6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제재 수단으로 러시아산 석유의 가격을 제한해 고유가로 인한 러시아의 수익을 제한하는 방법을 모색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G7의 조치에 러시아가 강력히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그런 움직임은 석유 시장에 심각한 불안정을 야기할 것”이라며 가격 상한제를 적용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석유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경고했다.
G7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7개국을 뜻하며 현재 G7 의장국은 독일이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