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손으로 구름 옮겨 설명…日 재난 방송 화제된 이유 [영상]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가 역대급 태풍이었던 매미보다 더 강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태풍 영향권에 든 일본에서 한 방송사의 재난 방송이 화제가 됐다. 그래픽이 아닌 구름 모형을 활용한 아날로그식 설명이 오히려 신선하고, 이해가 쉬웠다는 평가가 나오면서다.

3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엔 일본 방송사 ANN의 힌남노 관련 뉴스 영상이 담겨진 ‘일본 힌남노 특별 재난 방송’이라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지난달 31일 방송된 태풍 재난 뉴스 과정에 기상 예보사 이마무라 료코씨가 스튜디오로 나와 힌남노의 이동경로와 영향 등에 대해 설명하던 영상이다.

예보사는 힌남노가 남쪽을 향해 내려가는 특이한 진로를 보인다면서 힌남노 아래쪽에 위치한 열대저기압을 언급했다. 이어 해상 위에 있는 힌남노와 또 다른 열대저기압 구름 모형이 등장했다.

이는 화면상에만 보이는 그래픽이 아닌 실물 모형이었다. 예보사는 “이 열대저기압이 태풍의 진로에 영향을 미치면 그렇게 될 수 있다”면서 이 구름 모형 2개를 직접 손으로 잡아 이동시켰다.


그는 이어

또한 “태풍이 아래쪽 열대저기압으로 내려오면서 열대저기압의 세력이 약해지고, 태풍이 이를 잡아먹는 형태가 될 것”이라면서 힌남노 쪽으로 열대저기압 구름 모형을 손으로 옮겨 하나로 합쳐 보여줬다.


국내 누리꾼들은 이 같은 재난 방송에 대해 신기하면서도 직관적이라 이해가 쉽다는 반응들을 보였다. 일부 누리꾼은 “일본은 아날로그를 좋아한다더니 재난 방송도 이렇게 하네”, “왜 컴퓨터 그래픽을 쓰지 않았을까” 등 의문을 보였지만, 많은 이들은 “아날로그적 방식이 오히려 새롭고 신선하다”, “직관적이라 이해가 쉽다”며 관심을 가졌다.

일본 누리꾼들도 “알기 쉽게 설명해줘서 고맙다”, “디지털보다 알기 쉽고 귀엽다” 등 반응을 보였다.

노혜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