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송편 대신 추석에 두리안 맛 월병 먹는 나라는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다. 우리 조상들은 한해 농사를 마무리하기에 앞서 일 년 중 먹거리가 가장 풍성한 가을에 그간의 무탈한 농사에 감사하고 이듬해 풍년을 기원하는 추석을 지낸다.

비슷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한국의 주변 나라들도 보름달이 뜨는 음력 8월 15일을 기념한다. 다른 동아시아권 나라들은 추석을 어떻게 보낼까.


중국의 추석은 ‘중추절’이다. 가을 한가운데라는 의미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음력 8월 15일이 중추절이다. 중추절이 되면 중국인들도 한국의 추석처럼 제철 가을 음식으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고 가족들과 함께 나눠 먹는다. 한국의 추석에 송편이 있다면 중국의 중추절에는 월병이 있다. 중국인들은 둥글고 납작한 모양의 월병을 가족들과 함께 나눠 먹는다.

송나라의 시인 소식은 ‘중추절’을 두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우리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든, 달의 아름다움을 함께 나누고 오래 살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중국의 영향을 받은 대만의 추석 또한 ‘중추절’이라 불린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대만도 월병을 먹는다. 월병의 맛은 기본적인 돼지고기 맛부터 최근 등장하고 있는 아이스크림 맛까지 다양하지만, 모양은 항상 보름달과 가족이 둘러앉아 있는 모양을 상징하는 둥글고 납작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과는 다른 점이 있다면 대만은 중추절에 가족과 함께 바비큐를 먹으며 달구경을 한다.

아이들은 자몽과 비슷한 과일인 포멜로 껍질로 모자를 만들어 쓰기도 한다. 대만 전설에 따르면 포멜로는 달에 사는 여신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이다. 대만인들은 그녀가 좋아하는 과일로 모자를 만들어 쓰면 행운이 찾아오고 소원이 이뤄진다고 믿는다. 요즘 ‘포멜로 모자 만들기’는 아이들을 위한 재밌는 활동이자 축제 일부가 됐다.

일본에도 음력 8월 15일을 기념하는 추석이 있다. 일본의 추석은 ‘츠키미’라고 불린다. 달맞이라는 뜻으로 보름달이 뜨는 걸 기념하는 축제다.

일본 전설에는 달에 사는 ‘절구 찧는 토끼’ 이야기가 나온다. 이에 밝은 보름달이 뜨는 츠키미가 되면 일본인들은 토끼 모양의 달맞이 떡(츠키미 당고)를 챙겨 먹는다. 억새로 거리를 장식하고 달구경을 하면서 가족들의 건강과 행복을 빈다. 한국과 비슷하게 그해 수확된 고구마·밤·콩·토란 등의 신선한 계절 음식들을 즐겨 먹는다.

태국도 추석이 되면 가족이 모두 모여 보름달을 구경하고 함께 만찬을 즐긴다. 태국의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은 복숭아 모양의 월병이다. 이는 8명의 불사신이 등장하는 태국 전설에 따른 것이다. 전설에 따르면 8명의 불사신은 관세음보살의 탄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음력 8월 15일 달궁(月宮)으로 날아가 복숭아를 바치고 축하 인사를 전했다고 한다.

특히 태국에서는 두리안 맛이 나는 월병이 인기가 많다. 또한 포멜로도 즐겨 먹는데, 포멜로의 둥근 모양이 화합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뗏쭝투’라고 불리는 베트남의 추석은 어린이들을 위한 명절이다. 음력 8월 15일이 되면 베트남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갖고 싶었던 선물들을 주고 함께 시간을 보낸다.

어린이들의 축제인 뗏쭝투에는 마법의 생명을 준다고 알려진 반얀 나무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쿠오이라는 남성은 항상 깨끗한 물을 주며 반얀 나무를 가꿔왔다. 그러던 어느 날 쿠오이의 아내가 반얀 나무에 소변을 봤다. 갑자기 나무가 자라기 시작했고 나뭇가지를 쳐내려던 쿠오이는 나무에 걸려서 하염없이 올라가다가 달에 착륙했다. 쿠오이가 달에서 지구로 돌아오는 길을 밝히기 위해 아이들이 등불을 설치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추석날 달을 자세히 보면 나무 아래 앉아 있는 쿠오이의 그림자를 볼 수 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