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지지율이 20%대까지 내려갔다. 30%를 밑돈 지지율은 지난해 10월 내각 출범 후 처음이다. 일본 정치권 안팎에서 기시다 정권 위기론이 불거졌다.
일본 일간 마이니치신문은 19일 “일본 사회조사연구센터와 지난 17~18일 유권자를 상대로 진행한 공동 여론조사에서 기시다 내각의 지지율이 29%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달 20~21일 조사보다 7% 포인트나 하락했다.
기시다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10% 포인트나 상승한 64%에 달했다. 집권 자민당 지지율은 6% 포인트 내려간 23%에 머물렀다.
일본에서는 내각과 집권당의 지지율 합산 50%를 밑돌면 정권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일명 ‘아오키 법칙’이 거론되고 있다. 아오키 미키오 전 자민당 참의원 간사장이 주장한 가설로, 일본 정치권과 언론에서 내각 지지율이 하락할 때 거론된다.
현재 기시다 내각과 자민당 지지율 합산은 52%까지 내려가 아오키 법칙을 완전하게 외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도쿄도지사 출신의 일본 정치평론가 마스조에 요이치는 지난 18일 트위터에 “30%대가 ‘황신호’(감속), 20%대는 ‘적신호’(정지)다. 기시다 정권은 위기”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치권과 언론은 지난 7월 말에서 8월 초 사이 20%대로 급락한 윤석열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을 ‘내정 불안정’으로 평가하며 한·일 관계 개선의 걸림돌로 지적했지만, 이제 기시다 총리의 지지율을 걱정할 상황에 놓였다.
한국갤럽이 추석 연휴(9~12일) 직후인 지난 13~15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 평가 여론조사에서 긍정적 답변은 33%로 상승해 7주 만에 20%대를 벗어났다. 비록 조사 기관과 표본 집단이 다르지만, 여론조사를 통한 지지율에서 기시다 총리는 윤 대통령에게 추월을 허용하고 말았다.
기시다 총리 지지율 하락의 원인은 지난 7월 일본 나라현에서 참의원 선거 후보를 지원 유세하던 아베 신조 전 총리의 피격 사망 사건 이후 드러난 자민당과 통일교(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접점에서 찾을 수 있다.
자민당 소속 정치인 상당수가 통일교와 직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선거 때 도움을 받았다는 의혹이 일본에서 여당에 대한 반발 여론을 불러왔다. 생전 측근의 ‘모리토모·가케 학원 스캔들’ 등으로 정치적 평가가 엇갈리는 아베 전 총리의 국장도 유권자 사이에서 논란을 빚고 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