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영수’ 칭호와 ‘시진핑 사상’ 지위 확립은 종신집권 신호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연임을 확정하며 얻게 될 것으로 보이는 ‘영수’라는 칭호는 100년 넘은 중국 공산당 역사상 마오쩌둥에게만 부여됐던 호칭이다. 이는 시 주석을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해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오 반열에 올려놓는다는 의미다. 오는 16일 개막하는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선 당장에 명기된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이 ‘시진핑 사상’으로 축약돼 지도적 지위를 확립하는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생전에 자신의 이름을 딴 사상이 당장에 명기된 지도자 역시 마오쩌둥밖에 없었다. 영수 호칭과 시진핑 사상의 당장 삽입이 모두 이뤄진다면 시 주석이 3연임을 넘어 4연임, 그 이상 장기집권의 길로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마오의 전유물이었던 영수 칭호가 시 주석에게 등장한 건 지난 4월 광시좡족자치구 당 위원회 전체회의에서다. 시 주석을 향한 헌사가 이어지던 중 “영원히 영수를 추대하고 호위한다”는 발언이 나왔다. 중국 관영 CCTV가 지난 8일부터 방영하고 있는 16부작 다큐멘터리 ‘링항’(領航·항로를 인도한다는 뜻)에서도 지방 시찰 중 주민들에게 둘러싸여 환영 받는 시 주석의 모습 위로 ‘인민은 인민영수를 사랑한다’는 자막과 내레이션이 떴다. 링항은 시 주석 집권 10년의 성과를 부각하는 내용이다.

홍콩 명보는 지난 7월 현재 ‘당의 핵심’으로 불리는 시 주석이 이번 당 대회를 통해 ‘인민 영수’ 호칭을 얻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었다. 이 때문에 시 주석이 공식 직위에서 물러난 뒤로도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시 주석의 종신집권을 위한 작업으로 해석되는 또 다른 움직임은 시진핑 사상의 지도적 지위를 확립한다는 내용이 당장에 삽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것이 현실화되면 1945년 마오쩌둥 사상이 당장에 명기된 이후 처음이다. 개혁개방을 이끈 덩샤오핑도 사후에야 사상이 아닌 ‘덩샤오핑 이론’으로 당장에 들어갔다.

베이징 소식통은 12일 “2012년 집권한 시 주석이 2017년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당장에 넣고 이듬해 헌법의 국가주석 임기 제한 조항을 삭제한 것만 보더라도 시 주석은 이미 절대 권력을 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공산당은 특정 사안을 추진하기 전 여론 작업과 사상 교육부터 시작한다.

당 대회 이후 중국의 대내외 정책을 가늠할 수 있는 첫 무대는 미·중 정상회담이 될 전망이다. 다음 달 15~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 주석이 첫 대면 회담을 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현재로선 마오쩌둥에 버금가는 지도자가 된 시 주석이 미·중 관계와 대만 문제 있어 한층 공세적으로 나올 것이란 관측이 많다. 시 주석의 4연임이 결정되는 2027년 중국이 대만 무력 통일을 시도할 것이란 전망도 꾸준히 나온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경기 침체와 빈부격차 등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한 봉쇄 탓에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정부 목표치인 5.5%에 한참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 정상이 더디면 시 주석이 내세우는 분배에 중점을 둔 공동 부유를 실현하기가 쉽지 않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