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EU·G7, 러시아 원유 가격 상한선 60달러 수준 목표


미국 등 주요 7개국(G7)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선을 1배럴당 60달러 수준으로 합의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합의가 이뤄지면 다음 달 5일부터 이 가격보다 높게 거래한 러시아산 원유는 보험이나 해상 운송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현지시간) EU 소속 27개국 대사들이 오는 23일 만나 러시아 원유 상한액과 관련한 이견을 조율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G7은 EU가 결정한 러시아 원유 상한액을 따르기로 했다. 호주도 EU의 결정을 따를 방침이다.

한국의 경우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월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과 회담에서 “도입 취지에 공감하며 동참할 용의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유력하게 논의되는 상한선은 배럴당 60달러 안팎이라고 WSJ는 전했다. 내년 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이날 배럴당 80.9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폴란드, 리투아니아 등 일부 EU 회원국은 상한액을 생산 원가에 가까운 20달러 수준으로 낮추자는 강경 입장이다. 올레그 유스텐코 우크라이나 대통령 경제보좌관은 “배럴당 60달러가 동맹국들 관점에서 타당한 것처럼 들릴지 모르겠지만, 우리는 가능한 낮은 가격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배럴당 추출 비용은 12~20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상한선을 과도하게 낮추면 겨울철 에너지 부족 위기를 더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아 조율 과정에서 상한액이 70달러 수준까지 상향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WSJ은 설명했다. 러시아 원유는 최근 국제 시장에서 배럴당 70달러 수준에 거래됐던 만큼 상한선이 올라가면 제재 효과가 크지 않다.

가격상한제가 실시되면 G7과 EU, 호주는 상한액을 넘는 가격에 수출되는 러시아 원유에 대한 선박 보험과 수출입 금융 등 해상 서비스를 금지한다. 상한선 밑으로 거래된 러시아 원유에만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다. G7과 EU 국가들이 해상 보험과 운송 등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지닌 만큼 가격상한제는 러시아 원유 수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EU 회원국들이 만장일치로 상한선 수준에 합의해야 해 결정이 더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가격 상한선이 결정되면 그리스, 몰타 및 키프로스 등 대규모 선단을 보유한 국가와도 합의가 돼야 한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을 막자며 가격상한제를 추진했다. 지난 9월부터 적용하기로 했지만, G7과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합의가 미뤄졌다. G7은 다음 달 5일부터 해상으로 운송되는 러시아산 원유에 고정된 가격 상한선을 적용하기로 합의한 상태다.

가격상한제 합의가 곧 도출될 수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러시아산 원유 거래가 중단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 구매자들이 더 나은 가격을 제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격 상한선에 대한 세부 사항을 지켜보며 일부 러시아 원유 구매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가격상한제에 동참하는 국가에 대해 원유 수출을 하지 않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여기에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비OPEC 산유국 협의체인 ‘오펙 플러스’(OPEC+)는 가격상한제 시행 하루 전인 다음 달 4일 만나 향후 생산 계획을 결정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참여하는 이 회의에서 감산 결정이 이뤄질 경우 국제 유가 변동성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