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총기 사망 사건이 급증하면서 지난해 총기를 이용한 살인과 자살 등 총기 사망률이 28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에모리대 의대 크리스 리스 교수와 하버드대 의대 에릭 프리글러 교수팀은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1990~2021년 총기 사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110만 명 이상이 총기 살인과 자살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고어제(29일) CNN이 보도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유행한 2019년부터 2021년 사이 총기 사망자가 25%나 급증했으며, 지난해 총기로 숨진 사람은 4만8천953명으로 이는 인구 10만 명당 15명꼴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의 미국의학협회(AMA)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발표됐다.
총기 사망자는 이 기간 성별 및 인종과 관계없이 대부분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성별 및 인종 간 격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총기 사망자 가운데 약 86%는 남성이었다.
2014년부터 2021년 사이에 총기 살인율은 남녀 모두 2배 가까이 증가했으나 사망자 수는 남자가 여성보다 5배 이상 많았다.
또 지난해 총기 자살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기 사망의 인종 간 격차는 남녀 간 차이보다 훨씬 컸다.
총기 살인율은 젊은 흑인과 라틴계 남성에서 높았고 총기 자살률은 고령의 백인 남성에서 가장 높았다.
지난해 20~24살 흑인 남성의 총기 살인율은 10만 명당 142명으로 2014년 이후 7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총기 살인율은 미 전체 총기 사망률보다 10배 높고 백인 남성보다는 22배나 높은 것이다.
지난해 총기 자살률은 80~84살 백인 남성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그룹의 총기 자살률은 10만 명당 47명으로 2007년보다 41%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총기 사망률이 서부는 점차 감소하고 남부는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시골 지역보다는 도시 지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너선 제이 보스턴대 공중보건대학원 교수는 지역사회 차원의 빈곤 등 낙후성과 개인 차원의 총기 폭력 노출 등을 총기 사망 증가 요인으로 꼽고 팬데믹으로 덜 안전하다고 느낀 사람들이 총기 소지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게 된 것도 증가 요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크리스 리스 교수는 이 연구는 총기 사망의 증가 원인이 무엇인지는 밝히지 못하지만 특정 인종이나 계층, 연령 등이 총기로 숨질 위험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며특정 그룹의 총기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맞춤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