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12월21일 스포츠 1부(FIFA, 월드컵 3년마다 치르기 추진/맷 이슈비아, 새 피닉스 선즈 구단주)

1.이번 카타르 월드컵은 최초로 겨울에 열린 월드컵이었고 또 중동 지역에서 열린 첫번째 월드컵이어서 일각에서는 잘 될 수있을까 우려했지만 결국 성공적으로 끝났는데 FIFA는 이번 월드컵 성공에 고무돼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죠?

*지아니 인판티노, 국제축구연맹(FIFA) 회장, 야심찬 계획을 품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英 언론 ‘Daily Mail’이 보도한 내용으로 월드컵 열리는 주기를 바꾸는 내용

*인판티노, 기존의 4년마다 개최하는 월드컵을 3년에 한번 개최하는 것으로 바꾼다는 것

*FIFA, 이미 다음 2026 美-캐나다-멕시코 월드컵부터 본선 진출국 숫자 48개팀으로 확대한 상황

*그래서 2026 월드컵 조편성 어떻게 할 것인지 관심, 3팀씩16개조 또는 4팀씩 12개조 등 거론돼

*그런데 FIFA는 한발 더 앞서나가며 월드컵 개최 주기를 줄이겠다는 야심 가진 것으로 알려져  

2.예전에 월드컵을 2년마다 개최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했지만 너무 간격이 짧아서 문제라는 지적이 많자 수그러들었는데 3년은 정말 뜻밖이네요?

*주요 국제대회는 모두 짝수해로 돌아가는 것이 일반적

*월드컵, 하계올림픽, 동계올림픽, 아시안게임 등 모두 짝수해 열려

*덜 중요한 국제대회는 이 들 중요한 국제대회를 의식해 홀수해에 열리기도 해

*대표적으로 WBC 대회 홀수해에 열려, 아무래도 관심도나 비중 많이 떨어져 틈새 전략

*그런데 월드컵을 3년 마다 개최한다는 것은 상상하지 못했던 계획

*지안니 인판티노, FIFA 회장,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부분을 허를 찌르고 들어온 느낌

3.그러면 FIFA가 4년마다 개최하는 월드컵을 3년마다 개최하는 것으로 바꾸려는 이유는 뭡니까?

*FIFA, 월드컵 개최 주기를 1년 단축하려는 이유는 역시 돈

*Daily Mail, “인판티노 회장이 카타르 월드컵의 상업적 성공으로 용기를 얻었다”

*Daily Mail, “겨울 월드컵 개최가 Game Changer가 됐다고 확신하고 있다”

*Daily Mail, “인판티노 회장은 앞으로 3년 마다 월드컵을 개최하기를 원한다”

*Daily Mail, “이것은 세계 축구의 혁명을 일으키기 위한 장기적 계획의 일환이다”

*인판티노, 항상 여름에 하던 월드컵을 겨울에 해도 성공했다는데 크게 고무돼

*인판티노 생각에 이미 월드컵 개최 시기에 변화를 준 것인데 역시 월드컵 열기는 뜨거워

*Daily Mail, “카타르 월드컵 겨울 개최에 많은 세계 축구인들이 반대했다”

*Daily Mail, “그걸 극복하고 밀어 붙인 사람이 바로 인판티노 FIFA 회장이었다”

*Daily Mail, “인판티노 회장은 자신이 결단한 일이 성공하자 크게 고무됐고 자신감 커졌다”

*Daily Mail, “인판티노 회장이 또다른 장대한 야망을 품고 이를 실현시키려고 할 것”

4.미국-캐나다-멕시코 월드컵이 2026년 개최가 이미 확정된 상태인데 그러면 어떻게 되는 겁니까?
 
*Daily Mail, “이미 물밑에서 월드컵 3년마다 개최 논의가 시작됐다”

*Daily Mail, “하지만 이해관계자 간 협의가 마무리된 2030년까지는 변화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2026 월드컵은 예정대로 미국-멕시코-캐나다에서 열릴 것으로 보여

*2030 월드컵, 2022 개최 대륙 아시아와 2026 개최 대륙 북중미 제외 나머지 대륙 국가들 개최 가능

*단,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제재받아 2030 월드컵 개최 불가능

*현재 2030 월드컵 개최 관심 국가, 모로코(아프리카 대표) 강력한 개최 의지 나타내

*모로코, 아프리카에 있지만 이슬람 국가로 중동 국가들과 밀접한 관계

*카타르에 이어서 2026 월드컵 이후 모로코에서 2030 월드컵 개최된다면 불만 나올 수있어

*남미와 유럽에서도 도전, 재미있는 것은 모두 공동 개최 추진

*남미, 우루과이-아르헨티나-파라과이-칠레 등 4개국 공동개최 희망

*유럽, 루마니아-그리스-불가리아-세르비아 등 역시 4개국 공동개최 원해

*카타르 월드컵에서 드러났듯이 갑자기 경기장 짓고 대회 후 허물어야하는 상황

*그래서 2026 미국-캐나다-멕시코 월드컵 기점으로 앞으로는 공동개최가 대세될 가능성 높아

*특정국가가 지나치게 경기장 건설 부담 갖게되는 것에서 해방되고, 공동 경제 부양 가능해

*어차피 월드컵은 지구촌 전체 축제여서 이웃 국가들 함께 개최하면 비용 줄고 수익 극대화 가능

*클럽월드컵의 확대 개최를 발표했다. 그리고 또 다른 장대한 야망을 품었다"고 덧붙였다.

*Daily Mail, “인판티노 회장 2031년까지 3번 임기 수행할 의지 분명하게 나타내”

*Daily Mail, “2030년 이후 3년마다 월드컵 개최 혁명을 시도할 것” 보도

5.피닉스 선즈가 그동안 새로운 구단주를 찾고 있었는데 어제 드디어 나왔죠?
*피닉스 선즈, 로버트 사버 구단주 ‘인종 차별’과 ‘직원 무시’ 등으로 논란

*로버트 사버, 지난 9월21일 피닉스 선즈 매각 발표.. 농구계 안팎 비난 빗발쳐

*로버트 사버, 약 3개월여만에 인수자 찾아내.. 맷 이슈비아, UWM 회장 겸 CEO가 인수 결정

*ESPN, “맷 이슈비아 United Wholesale Mortgage 회장 겸 CEO가 피닉스 선즈와 머큐리 인수”

*ESPN, “맷 이슈비아 CEO, 피닉스 선즈와 머큐리 인수 금액으로 40억달러 지급 합의”

*ESPN, “맷 이슈비아 CEO가 피닉스 선즈 지분 50% 이상을 인수해서 대주주로 팀 이끌 것”

6.새로운 피닉스 선즈 구단주가된 맷 이슈비아 CEO는 아주 흥미로운 이력을 갖고있죠?

*맷 이슈비아, 현재는 모기지 사업가로서 억만장자 반열에 올랐지만 원래 농구 선수 출신

*맷 이슈비아, 농구 명문 대학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선수로 활약했던 인물

*대학농구 최고 명장 중 한명인 Tom Izzo 감독 밑에서 선수로 뛰며 2000년 대학농구 챔피언 올라

*대학농구 선수 생활 마치고 사업에 뛰어들어 모기지 사업으로 억만장자에 등극해

*현재 Michigan 주에서 가장 부자 중에 한명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맷 이슈비아, 사업가 변신한 후에도 Tom Izzo 감독에 대한 존경심 변치 않아

*맷 이슈비아, Tom Izzo 감독이 이끄는 모교 Michigan State에 3,200만달러 기부할 정도

*어제 피닉스 선즈 인수 확정 공식성명에서도 Tom Izzo 감독 언급하며 존경심 나타내

7.맷 이슈비아 CEO가 평소에도 농구를 비롯해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죠?

*맷 이슈비아, 경제 전문지 ‘Forbes’ 따르면 올해(2022년) 순수익 51억달러

*맷 이슈비아, NBA 팀이나 NFL 팀 등 인수 노리고 그동안 계속 알아보고 있었던 상황

*맷 이슈비아, 자신의 UWM 그룹에 대해서도 2,000명이 농구하는 팀이라는 식으로 표현할 정도

*맷 이슈비아, 농구 선수 출신으로 억만장자가된 뛰어난 사업 수단 발휘한 인물

*맷 이슈비아, 과연 피닉스 선즈 구단을 어디로 어떻게 이끌지 관심 집중

로버트 사버 현 구단주도 40억달러에 구단을 파는 거면 속된 말로 아주 남는 장사라고 할 수 있는 것 아닙니까?

*로버트 사버, 지난 2004년, 제리 콜란젤로 당시 피닉스 구단주로부터 4억 100만달러에 인수

*로버트 사버, 18년만에 약 10배로 팔아넘겨 스포츠 구단 운영이 남는 장사임을 입증

*역대 NBA 구단 매각 역사상 최고액 기록 경신, 로버트 사버 금전적 이득 확실히 챙기고 떠나

*맷 이슈비아 CEO, 농구 선수 출신으로 NBA 팀 운영하는 것이 꿈이었을 수도 있어

*하지만 사업적 측면으로만 놓고 보더라도 충분히 이해가 가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