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필수품 등 물가가 크게 오른 가운데미 농업인들의 소득이 크게 상승해 49년만에 최고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오늘(22일) 최근 발표된 미 농무부(USDA)의 전망치를 인용해 올해 미국의 순농가소득(net farm income)이 1천605억 달러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대비 14% 증가에 해당한다.
USDA가 정의하는 순농가소득은 농장 운영자들이 노동·경영·자본을 투입해 올린 현금·비현금을 망라한 총 수익에서 생산 비용을 뺀 것으로, 농업 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통계치로 활용된다.
이 전망치대로라면 올해 미국 농가 소득은 물가상승을 감안한 조정치로 따져 1973년 이래 최고 수준이 된다.
USDA는 옥수수, 콩, 밀 등 곡물 판매에 따른 현금 수입이 지난해 대비 19% 증가하고 동물과 축산물에 따른 수입이 31% 늘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농가 소득이 늘어난 것은 밀·옥수수 등 농작물과 우유·육류에 이르는 다양한 농·축산물의 가격이 뛰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USDA의 분석이다.
WSJ에 따르면 러시아가 올해 2월 주요 곡창 지대인 우크라이나를 침공한데다가 일부 농업 지역에서는 날씨가 좋지 않아 소출이 감소하는 등 여러 요인이 겹쳐 곡물 가격이 뛰었다.
또 사료 등의 가격 상승 탓에 소 사육 두수가 줄면서 소 가격도 올랐다.
이에 따라 미 경제가 전체적으로 어려워지는 가운데 농부, 목장주, 농업 기업 등은 보기 드문 호시절을 누리게 됐다.
최근 10년간은 농업인들과 이들에게 물품을 공급하는 업자들이 농업 침체로 고통을 겪어 왔으나, 급격히 상황이 호전된 것이다.
농·축산물 가격이 뛰면서 미 가정의 식료품 비용이 급격히 상승했다.
WSJ가 인용한 미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월 기준 장바구니 물가는 12개월 전보다 12% 상승했다.
곡물과 제빵·제과 제품군, 유제품과 관련 제품군은 각각 16% 넘게 가격이 올랐으며, 다른 주요 식품·식재료 제품군은 적게는 7%, 많게는 14%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