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코로나19 감염자 급증으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의약품과 방역 물자를 합리적으로 수입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년 동안 자국산 백신 접종만 허용해온 중국이 외국 백신을 받아들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22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국무원은 전날 리커창 총리 주재로 열린 상무회의에서 “전염병 예방 및 의료 물자 수요를 효과적으로 보장하고 관련 기업이 충분히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긴급히 필요한 물품을 합리적으로 수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7일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시중에서 구하기 힘든 해열제와 독감 치료제 등을 충분히 공급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일각에선 중국이 외국산 백신을 수입할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불활성화 방식의 중국산 백신은 메신저리보핵산(mRNA) 계열의 백신보다 효능이 떨어지고 변이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중국산만 고수하다가 감염자가 급증하고 중증 환자가 늘면 보건 체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중국은 백신 수입을 국가 자존심 문제로 여겨 승인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앞서 중국은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지난달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났을 때 중국에 있는 독일 등 서방 국적자에 한해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허용하기로 했다. 독일 정부는 지난 21일(현지시간)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이 선적돼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