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이번 주말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규제를 전면 완화할 예정인 가운데 유럽연합(EU)이 중국발 입국자를 대상으로 공동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EU 보건안전위원회는 3일(현지시간) 각국 보건당국자가 참석한 회의가 끝난 뒤 트위터를 통해 “EU 회원국들은 중국발 여행객 증가에 따른 영향을 포함해 변화하는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조율된 접근 방식’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스텔라 키리아키데스 EU 보건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중국 여행객 대상 출국 전 코로나19 검사, 중국발 항공편의 폐수 모니터링 강화, EU 역내 감시 강화 등 세 가지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날 회의는 회원국 간 원칙적 합의를 한 정도로, 4일 스웨덴에서 열리는 통합정치위기대응(Integrated Political Crisis Response·이하 IPCR) 메커니즘 회의에서 후속 논의를 거쳐 방역 강화의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될 전망이다.
이탈리아, 프랑스 등 일부 국가는 이미 자체적으로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검사를 의무화했다. 벨기에는 의무 검사 대신 중국발 항공편의 폐수를 모니터링해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유입 여부를 감시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독일은 중국을 변이 발생 지역으로 규정할 근거가 없다면서 중국발 입국자를 표적으로 한 입국 규제 강화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EU 회원국들 사이에서 입국 규제의 각론을 두고 이견이 드러나고 있는 만큼 회원국 간의 일치된 안을 빠른 시일 내 내놓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율된 접근 방식’에 합의했다는 보건안전위 설명 등을 종합하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사전 검사 의무화 등 조처가 EU 전역에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EU 대변인도 “압도적 다수 회원국이 출국 전 코로나19 검사에 찬성하는 입장”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번 회의를 통해 EU 전역에 유사한 조처가 적용된다면 중국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실제로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만을 대상으로 입국 제한 조치를 하는 것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일부 과도한 방법은 더욱 받아들일 수 없다”며 중국 측에서도 ‘상응 조처’를 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류동환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