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브라질 대선 불복 폭동, SNS로 조직 정황…바이든, 룰라 초청


‘셀마의 파티(Festa de Selma)’.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지난 1일(현지시간) 취임한 이후 소셜미디어(SNS) 왓츠앱과 텔레그램 등에 등장한 메시지다. 브라질 매체 퍼블리카는 셀마가 브라질 군대가 사용하는 정글(셀바·Selva)을 암시하는 단어라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수십 년간 일종의 전쟁 외침을 의미했다”고 설명했다. 왓츠앱은 브라질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SNS다. 이 글은 곧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틱톡 등에도 퍼졌다.

셀마의 파티는 해시태그 브라질의 봄(#BrazilianSpring)과 함께 사용됐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책사인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가 지난해 10월 브라질 대선 전후 선거 부정 음모론을 제기하며 사용했던 표현이다.

셀마의 파티와 브라질의 봄은 전날 브라질 의회, 대법원, 대통령 집무실에 대한 초유의 난동이 있기 전 SNS를 타고 광범위하게 퍼졌다. 퍼블리카는 “난동의 마지막 단계를 조직하려고 사용한 일종의 코드였다”고 분석했다. SNS를 이용해 대규모 봉기를 조직·가동했다는 의미다.

해당 해시태그와 함께 올라온 글과 영상 등에는 주유소 등 주요 인프라를 표적으로 한 공격 요청이 담겼다. 시위대가 의회 등을 향하는 거리를 습격할 것을 촉구하는 글도 있었다. 가담자들을 실어 나를 차편도 SNS로 동원됐다. NYT는 “폭도들이 전국 각지에서 버스 캐러밴을 이용해 공짜로 이동할 수 있었다”며 “셀마의 파티 초대장에는 무료 음식과 캠핑 지원 약속 등도 담겼다”고 설명했다. 브라질 당국에 따르면 지난 6~7일 사이 약 4000명의 시위대를 태운 버스 100여 대가 브라질 수도에 도착했다. 대부분은 지난해 10월 대선 이후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군대 인근에 세워둔 야영지에서 머물렀다.


폭동의 조직자가 누구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글들은 모두 SNS를 타고 확산하며 대규모 폭력 봉기를 조장할 수 있었다. 실제 ‘페르난도’라는 아이디 사용자는 봉기 전날인 지난 7일을 언급하며 “셀마 사전 파티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봉기 장소인 의회 지도를 개시했다. 다른 사용자가 올린 게시글에는 “어린이와 노인을 제외한 모든 브라질 애국자는 입장이 무료다. 역대 최고가 될 예정”이라고 썼다. 의회 침공 요청을 공유한 한 트위터 사용자는 유료 계정 이용자인 블루 인증 마크를 달고 있었다.

브라질에서는 지난해 10월 대선 전후에도 트위터, 페이스북, 왓츠앱을 통해 선거 부정 등에 대한 음모론이 넘쳐났다. 자이르 보우소나르 전 대통령은 전자 개표기 오류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의 아들 에두아르두가는 지난해 11월 트럼프의 별장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배넌을 만나기도 했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8선거가 끝난 지난해 11월에는 보우소나루의 아들 에두아르두가 트럼프의 별장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배넌을 만나기도 했다. BBC에 따르면 이후 배넌은 브라질 당국이 개표기를 해제할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게시했다.

배넌은 이날 SNS 게터를 통해 “룰라는 선거를 훔쳤다. 브라질 사람들은 이를 알고 있다”며 “(봉기는) 시민들이 선거가 도난당했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시위대 편을 들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룰라 대통령과 통화하고, 다음 달 미국으로 초청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브라질의 민주주의에 변함없는 지지를 전하고, 평화로운 권력 이양에 대한 폭력과 공격을 비난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한 병원에 입원 중인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과 관련한 브라질 정부의 인도 요청은 아직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은 “우리가 그런(신병 인도) 요청을 받는다면, 항상 하던 식으로 처리할 것이다. 요청을 진지하게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일반적으로 A비자(외교관 비자)로 입국한 누군가가 더는 자기 정부를 대표해 공식 업무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미국을 떠나거나 30일 이내에 비자 지위 변경을 요청해야 한다”며 “만약 개인이 미국에 체류할 근거가 없으면 그는 국토안보국의 추방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