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바이든, 윌밍턴 사저에서 또 기밀문서 발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델라웨어 사저에서 부통령 시절 기밀 문건이 새로 발견됐다. 공화당은 기밀문서를 소홀히 취급했고, 이를 즉각 알리지 않았다고 비난하며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백악관 변호사인 리처드 사우버는 14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있는 바이든 대통령의 사저에서 기밀 표시가 돼 있는 5페이지의 추가 문건이 지난 12일 발견돼 즉각 법무부에 넘겼다고 밝혔다.

사우버 변호사는 지난 11일 저녁 윌밍턴 사저의 차고에 있는 창고에 딸린 방에서 기밀 표시가 찍힌 1쪽짜리 문건을 발견했고, 백악관은 이튿날 오전 이 사실을 공개했다. 그는 당시 기밀문서를 다룰 허가를 받지 못해 추가 수색을 중단하고 해당 문건 발견 사실만 통보했다. 이후 발견된 기밀 문건을 법무부에 넘기는 것을 돕기 위해 12일 사저를 다시 방문했다가 연결된 문건을 추가로 찾았다. 이날 공개한 문서는 지난 11일 발견된 문서와 연결된 형태로 총 6쪽이다.

앞서 백악관 측은 지난해 11월 2일 바이든 대통령의 개인 사무실에서 기밀문서 10여 건을 발견해 이를 국립기록보관소로 넘겼고, 보관소 측이 이를 법무부에 통보했다. 미 연방수사국(FBI)도 곧 법률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를 시작했다. 이 사실은 2개월 뒤인 지난 9일 알려졌다.

사우버 변호사는 지난해 12월 20일에도 윌밍턴 자택의 차고에서 더 많은 기밀문서가 발견됐다며 이를 법무부에 알렸고, FBI가 문서를 확보했다. 백악관은 이런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었다.

논란이 커지자 메릭 갈런드 법무부 장관은 지난 12일 법무부 수석차관보와 메릴랜드주 연방검찰청 검사장을 지낸 전직 검사인 한국계 로버트 허 변호사를 특별검사로 임명해 수사를 맡겼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문건 유출 사실을 알지 못했고, 발견 즉시 당국에 자발적으로 신고하고 조사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문건 제출과 조사를 거부한 트럼프 전 대통령 사례와는 성격이 다르다는 것이다.

사우버 변호사는 “우리는 발견 장소 등 식별된 문서의 구체적인 사항을 공개적으로 밝혀왔다”며 “백악관은 특검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개인 변호사인 밥 바우어도 성명을 내고 “바이든이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및 법무부에 대한 완전한 협조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바우어 변호사는 기밀문서 발견과 이후 백악관이 국립기록보관소, 법무부 등과 협력했던 내용을 날짜별로 설명한 자료도 공개했다.

그러나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은 이번 사건의 의회 조사가 필요하다고 압박했다. 특히 공화당이 주도하고 있는 하원 법사위 등은 법무부가 이번 사건을 적절하게 처리하고 있는지에 대해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엘리스 스터파닉 하원의원은 이날 “공화당은 법무부와 FBI의 이중적인 잣대에 대한 책임을 묻고, 바이든이 그토록 무책임하게 오랫동안 기밀문서를 지녔는지 진실을 밝힐 것”이라고 지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미·일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하지 않았는데, 이는 기밀문건 유출 사건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일본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하기도 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