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美모기지 금리 하락에 주택 구매 대출 신청 증가.. "1년만에 회복세"

[앵커멘트]

국내에서 주택업계 심리가 1년 만에 개선되면서올해 안에 주택시장이 회복될 것이란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 

주택시장지수가 반등한 건 12개월 만인데이러한 ‘깜짝 반등세’는 금리가 하락한 요인이라는 설명입니다. 

김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내에서 그동안 위축됐던 주택구매심리가 조금씩 기지개를 켜고 있습니다.

미 주택건설협회(NAHB) 조사에 따르면 이번달(1월) 주택시장지수는 35로 전달보다 4포인트 올랐다고 CNBC등 주류언론이 어제(18일) 보도했습니다.

주택시장지수는 주택의 매매나 임대 또는 시세 변동에 대한 지수로​​ 주택 시장 업계 전망을 수치화한 값인데, 50을 넘으면 긍정적이고 50 밑이면 부정적 시각이 우세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수치가 낮을수록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번 조사결과는 아직까지는 부정적 시각이 더 높지만낙관론도 점차 고개를 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설명입니다. 

이러한 반등세 요인으로는 금리하락이 꼽힙니다. 

미 30년 만기 고정금리 모기지 평균 약정 금리는 지난해(2022년) 10월 7.37%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 17일 기준 6.17%까지 떨어졌습니다. 

모기지 금리 하락으로 주택 구매 대출 신청이 늘어자금 조달이 상대적으로 쉬워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주택 수요가 늘어나게 됩니다. 

실제로 미모기지은행협회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지난주 국내 모기지 신청 건수는 지난주보다 28%나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주택업계는 시장 반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주택 시장 사이클에서 사업자 심리가 지난달(12월) 저점을 찍은 것으로 보고있다며올 하반기 주택 건설이 다시 늘어날 수 있는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라디오코리아 뉴스 김나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