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제노사이드’(집단학살)라고 규정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아이오와 바이오연료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가족의 예산, 연료탱크를 채우는 능력 등이 지구 반대편에서 독재자가 전쟁을 선포하고 대량학살을 저지르냐에 의해 결정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독재자와 대량학살의 주체를 직접 거론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푸틴 대통령을 언급해 비난한 것으로 풀이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행사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푸틴이 우크라이나인을 말살하려 한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지기 때문에 대량학살이라 불렀다. 증거가 늘어가고 있다”며 “지난주와는 다른 모습”이라고 말했다. 또 “러시아인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저지른 끔찍한 일들에 대한 증거가 나오고 있다. 법률가들이 (정확히) 결정하겠지만 나에게는 확실히 그렇게 보인다”고 거듭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제노사이드’ 발언은 미 정부의 공식 입장보다 앞선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동안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고 있는 민간인 살해를 집단학살이라고 부르지 않았다. 지난 4일 부차에서 자행된 잔혹 행위가 집단학살에 해당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전쟁범죄”라고만 답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이날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항구도시 마리우폴을 공격하면서 화학작용제를 사용했을 수 있다는 믿을 만한 정보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러시아군이 마리우폴에서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일부의 주장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위치는 아니다”면서도 “러시아군이 마리우폴을 장악하기 위한 공격의 일환으로 (마리우폴에) 포위된 우크라이나 전투원과 민간인을 무력화하기 위해 강한 증상을 일으키는 화학작용제를 섞은 최루가스를 포함해 다양한 폭동진압작용제를 사용했을 수 있다는 믿을 만한 정보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우리는 그런 정보를 우크라이나와 공유했다”며 “(현장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파악하기 위해 파트너들과 직접 대화를 하고 있다. 이것은 진짜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우크라이나 ‘아조우 연대’가 전날 러시아 드론이 우크라이나 군대와 민간인들에게 독성 물질을 투하했다고 주장하면서 러시아의 화학무기 사용설이 부상했다.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은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도 “러시아군은 과거에도 화학무기를 사용한 전력이 있다”고 말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러시아군이 화학무기를 사용할 경우 우크라이나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관련 장비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7억5000만 달러 상당의 무기를 추가 지원할 계획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한 고위 보좌관은 “곡사포 등 중화기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