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am News

미 비밀경호국 “대량 공격 사건은 불만에 의한 보복 범죄”


여러 명의 사상자를 낸 대량 공격 사건 가해자 상당수가 주변과의 불만 때문에 범죄를 저질렀다고 미국 정부가 밝혔다. 대량 공격 사건 절반은 개인 원한이나 가정, 직장에서의 갈등에 의한 보복 범죄였다. 가해자들은 음모론이나 반유대주의, 여성 혐오 등 증오 이데올로기에 빠져 있던 사례가 많았다. 대부분이 총기를 사용했고, 상당수는 이를 불법 소지한 상태였다.

미 비밀경호국(SS) 국가위협평가센터는 25일(현지시간) 2016~2022년 3명 이상의 피해자가 발생한 대량 공격 사건 173건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공격은 직장, 학교, 종교 기관, 대중교통 등에서 발생했으며 모두 513명이 사망하고 1234명이 다쳤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 공격자는 범죄 장소와 연관이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가해자 절반은 주변에 대한 불만이 공격의 동기를 부여했고, 개인이나 가정 또는 직장 문제와 관련한 잘못된 인식으로 보복했다”고 설명했다. 주변의 괴롭힘이나 가족·연인·이웃과의 불화 등 개인적인 문제와 관련된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지난 23일 샌프란시스코 남쪽 도시 해프문베이에서 7명의 사망자를 낸 총기난사 사건도 이에 해당한다. 샌머테이오 카운티 보안관은 가해자 자오춘리가 특정인에 대해 불만을 품고 저지른 직장 폭력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가해자들은 공격 1년 이내에 가족이나 연인 관계, 사생활이나 직장에서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했다. 공격 직전 특정 트리거 사건이 있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보고서는 가해자들이 겪은 스트레스 요인 대부분은 재정적 불안정, 대인 관계, 고용 관계 등과 관련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가해자 절반 이상은 범죄 시점에서 우울증, 정신병적 증상, 자살 충동 등의 정신과적 증상을 경험했다. 또 공격자 4명 중 1명은 반정부, 백인 우월주의, 반유대주의, 여성 혐오, 특정 인종 및 성소수자에 대한 분노 등 음모론이나 증오 이데올로기, 극단주의 등과 관련된 신념 체계에 빠져 있었다. 보고서는 특히 공격자 절반 가까이가 가정 폭력이나 여성 혐오적 행동 전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적했다.

다중 공격 사건 73%에서 총기가 사용됐다. 가해자 3분의 1은 법적으로 폭력 전과나 정신 병력 등으로 총기 소지가 금지된 사람들이었다. 분석 대상 사건 중 난사사건은 모두 불법 총기 소유자에 의해 발생했다. 온라인을 통해 부품을 구매해 총기를 보유하게 된 경우도 많았다.

가해자들은 주변에 위협적 언행을 펴며 사전 위험 신호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총기 난사나 참수 영상을 반복적으로 시청하거나, 폭력적인 주제의 글을 쓰는 등 행동도 보였다.

그러나 비밀경호국은 “공격이 발생할 장소와 시기를 지정하기가 어려워 명시적 위협을 기다리는 건 폭력을 예방할 기회를 놓치게 된다”며 “조기 개입이 예방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전웅빈 특파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