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매체가 중국인 단기 비자 발급 중단 조치를 연장한 한국 정부를 향해 “중국인 관광 특수를 놓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은 다음 달 6일부터 해외 단체 여행을 재개할 방침이다.
중국 글로벌타임스는 30일 “중국은 2월 해외 단체 관광을 재개할 준비가 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프랑스는 중국인 관광객을 겨냥한 여행 제한 조치를 추가했다”며 “중국인들의 엄청난 해외 여행 수요가 가져올 특수를 잃게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과 프랑스가 불필요한 감염 우려를 이유로 중국인 입국를 제한할 때 남아시아 국가들은 수만 명의 중국인 여행객을 받아들여 위드 코로나 첫 춘제 기간 ‘보복 여행’의 최대 수혜자가 됐다”고 덧붙였다.
이 매체는 중국 정부가 전날 일본인 일반 비자 발급을 재개한 사실을 거론하며 “일본은 중국이 코로나 방역을 완화한 뒤 중국인 관광객 입국 제한을 부과한 첫 번째 국가 중 하나지만 이로 인해 국내 관광 및 관련 업계가 어려움을 겪자 빠르게 정책을 바꿨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전 세계 10여개 국가가 중국인 입국 검역을 강화하자 이중 한국과 일본에 대해 지난 10일 단기 비자 발급 중단 조치를 취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일부터 중국인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했고 당초 이달 말로 정했던 적용 시한을 다음 달 말까지 연장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한·중 양국 왕래와 교류 협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랑스도 최근 중국발 입국자를 대상으로 한 의무적인 코로나 검사를 다음 달 15일까지 연장했다. 중국인들이 춘제 연휴 기간 대거 고향을 방문하거나 국내 관광에 나서면서 코로나가 재확산할 가능성 등을 감안한 조치다.
중국 당국은 춘제발 폭증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주장하지만 그 근거로 제시한 발열환자, 중증환자, 사망자 통계가 의료기관이 취합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해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또 중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전국의 유전자증폭(PCR) 검사 양성 반응이 지난달 22일 694만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 23일 1만5000건으로 떨어져 전염병 상황이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보다 앞선 지난달 7일 상시적인 PCR 검사가 폐지돼 검사 받는 인원이 대폭 줄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